오근

(5선근에서 넘어옴)

5근(五根, 산스크리트어: pañcendriyāni, 영어: Five spiritual faculties)은 37도품(三十七道品) 중의 4번째 그룹을 이루는 신근(信根: 믿음) · 진근(進根: 정진) · 염근(念根: 기억) · 정근(定根: 선정) · 혜근(慧根: 지혜)의 5가지의 선법(善法)을 말한다.[1]

이들 5가지 선법(善法)들은 번뇌를 항복시켜 성도(聖道)로 이끌어들이며 보리에 도달하기 위한 유력한 향상법이 되는데, 이러한 연유로 때문에 근(根)이라고 한다. 무루성도로 끌어들이고 향상시키는 5가지 뿌리라는 뜻의 5무루근(五無漏根)이라고도 한다.[1][2] (善)을 증대시키는 5가지 뿌리라는 뜻에서 5선근(五善根)이라고도 한다.[3][4]

어원

(根)이라고 번역된 산스크리트어 인드리야(indriya)는 '인드라(Indra)에 상응하는' 또는 '인드라에 속한'이라는 뜻의 형용사이며, 명사로 사용되는 경우 '인드라[自在]' 또는 '인드라의 영역'을 뜻한다.[5] 인드라힌두교창공(firmament)과 대기(atmosphere)의 으로, 힌두교의 신들 즉 데바들의 왕이며, 들과 천인들의 하늘인 스와르가(Swarga)를 통치한다.[6] 힌두교의 신 인드라는 불교에 수용되어 제석천(帝釋天)이 되었는데, 불교의 우주론에서 제석천욕계의 6천 가운데 제2천으로 33천이라고도 불리는 도리천의 지배자이다.[7][8] 이러한 이유로 '근(根)'은 증상력 즉 뛰어난 또는 뛰어난 작용력을 뜻한다.[5][9]

이와 같은 뜻에 바탕하여 유정(有情)의 신체와 관련해서는, 5근은 신체 중에서 가장 밝게 빛나며 두드러지게 뛰어난 5가지 힘 또는 작용력을 말한다. 즉, (色) · (聲) · (香) · (味) · (觸)의 외계 대상을 취하여 의식을 낳게 하는 뛰어난 작용을 하는 5가지 감각 기관을 뜻한다.[10]

5근의 산스크리트어 원어는 다음과 같다.[1]

선법(善法), 즉 정신적 · 도덕적 · 영적인 힘과 이치에 관련해서는, 5근은 번뇌를 항복시키고 성도(聖道)로 이끄는 증상(增上: 발전, 증진, 조장)시키는 5가지의 힘과 이치를 말한다.[1] 즉, 유루(有漏)를 제압하여 수행자를 보다 더 청정한 상태로 이끄는 무루(無漏)의 힘과 작용의 증상(增上)을 일으키는 5가지의 교법 또는 실천을 뜻한다. 이 5근을 또는 무루의 뿌리가 된다는 뜻에서 5선근(五善根) 또는 5무루근(五無漏根)이라고도 한다.[1][3][4]

5선근산스크리트어 원어는 다음과 같다.[1]

신근

진근

염근

정근

혜근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K.650, T.99). 《잡아함경(雜阿含經)》.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50(18-707), T.99(2-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권오민 (2003).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T.99). 《잡아함경(雜阿含經)》. 대정신수대장경. T2, No. 9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