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오필린

화합물

테오필린(theophylline, 1,3-디메틸크산틴(1,3-dimethylxanthine))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천식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잔틴 약물로서, 다양한 브랜드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잔틴계에 속하는 이 물질은 구조와 약리적 특성이 테오브로민, 카페인과 유사성을 가지며 자연에서 쉽게 발견되며 (차나무), 코코아(카카오)에 존재한다. 적은 양의 테오필린은 의 카페인 대사 처리 산물 가운데 하나이다.[1]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1,3-dimethyl-7H-purine-2,6-dion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58-55-9
ATC 코드R03DA04
PubChem2153
드러그뱅크DB00277
ChemSpider2068
화학적 성질
화학식C7H8N4O2 
분자량180.164 g/mol
SMILESeMolecules & PubChem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100% (IV)
단백질 결합40% (primarily to albumin)
동등생물의약품?
약물 대사Hepatic to 1-methyluric acid
생물학적 반감기5–8 hours
배출?
처방 주의사항
임부투여안전성A(오스트레일리아)C(미국)
법적 상태
  • AU: S4 (처방전 필요)
  • CA: ℞-only
  • UK: P (Pharmacy medicines)
  • US: ℞-only
투여 방법By mouth, IV, rectal
일본의 테오필린 ER(extended-release) 알약

역사

테오필린은 차잎에서 최초로 추출되었으며 1888년 독일의 생물학자 알브레히트 코셀에 의해 화학적으로 식별되었다.[2][3] 7년 뒤, 1,3-dimethyluric acid으로 시작되는 화학합성에밀 피셔, Lorenz Ach에 의해 기술되었다.[4] 테오필린 합성의 대안 방식인 퓨린은 1900년 독일의 다른 과학자 Wilhelm Traube에 의해 도입되었다.[5] 테오필린의 최초의 임상적 활용은 1902년 이뇨제로서 사용되기 시작했다.[6] 천식 치료로 처음 보고되기까지 20년의 시간이 더 걸렸다.[7] 이 약물은 Theostat 20, Theostat 80라는 이름으로 최대 1970년대까지 시럽으로 처방되었으며 1980년대 초 Quibron이라는 이름의 알약 형태로 판매되었다.

각주

외부 링크

  • 위키미디어 공용에 테오필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