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렌 울렌벡

미국의 수학자

카렌 케스쿨라 울렌벡(Karen Keskulla Uhlenbeck, 1942년 8월 24일 ~ )은 미국의 수학자로 현대 기하 해석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이다.[1] 그녀는 오스틴 텍사스 대학교의 수학과 명예 교수이며, 그곳에서 시드 W. 리처드선 재단(Sid W. Richardson Foundation)의 이사장을 역임했다.[2][3][4] 현재는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의 저명한 객원 교수이자[5] 프린스턴 대학교의 객원 선임 연구원이다.[6]

카렌 울렌벡
Karen Uhlenbeck
1982년의 울렌벡
1982년의 울렌벡
출생1942년 8월 24일(1942-08-24)(81세)
미국,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
주요 업적변분 미적분학
기학 해석학
국소 표면
양-밀스 이론
수상맥아더 펠로우십
뇌터 강사 (1988)
국가 과학 메달 (2000)
르로이 스틸 상 (2007)
아벨 상 (2019)
르로이 스틸 상 (2020)
분야수학
소속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오스틴 텍사스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시카고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 대학교
박사 교수리처드 팔레이스(Richard Palais)
영향을 받음싱퉁 야우

울렌벡은 2007년에 미국 철학회에 선출되었다.[7] 그녀는 2019년 "기하 편미분 방정식, 게이지 이론적분가능 계에 대한 선구적인 업적과 해석학, 기하학수리 물리학에서 그녀 연구의 근본적인 영향"을 업적으로 아벨상을 수상했다.[8] 그는 이 상이 2003년 시작된 이래로 현재까지 유일한 여성 수상자이며,[9][10] 이 상금의 절반을 수학 연구분야에서 여성의 참여를 촉진하는 단체에 기부했다.

생애와 경력

울렌벡은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에서 엔지니어인 아놀드 케스쿨라와 학교 교사이자 예술가인 캘롤린 윈들러 케스쿨라 사이에서 태어났고, 어렸을 때 가족이 뉴저지로 이사했다.[11] 올렌벡의 결혼 전 이름인 케스쿨라는 에스토니아인인 그녀의 할아버지 Keskküla로부터 유래했다.[12] 울렌벡은 미시간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1964)를 받았고,[2][4] 뉴욕 대학교쿠란트 수리 과학 연구소에서 대학원 과정을 시작했으며 1965년 생물 물리학자 올케 C. 울렌벡 (물리학자 조지 울렌벡의 아들)과 결혼했다. 남편이 하버드에 갔을 때 그와 함께 이사하여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 공부를 다시 시작하여 리처드 팔레이스의 지도 아래 MA (1966)와 PhD(1968)를 받았다.[2][4] 박사 학위 논문 제목은 《변분 적분과 전역 해석》(The Calculus of Variations and Global Analysis)이다.[13]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임시로 일한 후, 대학 내에서는 비록 학과과 차이가 많이 나더라도 남편과 아내를 같은 대학에서 모두 고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반족벌주의" 규칙 때문에 남편과 함께 영구적인 자리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다가 1971년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교수가 되었다.[14] 그러나 어바나를 싫어하여 1976년 시카고 일리노이대학교로 이사하면서 남편 올케 울렌벡과 헤어졌다.[12] 1979년부터 1981년까지 울렌벡은 특별회원(Member at Large) 자격으로 미국 수학회의 평의회에서 재직했다.[15] 1983년에 다시 시카고 대학교로 이직하였다.[12] 1988년 수학자 로버트 F. 윌리엄스와 결혼하고,[12] 시드 W. 리처드슨 재단 이사회 회장으로 오스틴의 텍사스 대학교로 옮겼다.[2][3][4] 현재는 오스틴에 있는 텍사스 대학교의 명예교수이고,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의 방문 연구원이자 프린스턴 대학교의 방문 선임 연구원이다.[6]

연구

울렌벡은 미분 기하학을 이용하여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에 대하여 연구하는 분야인 기하 해석학 분야의 창시자 중 한 명이다.[16] 또한 위상 양자장론적분가능 계의 연구에도 기여했다.[2][17]

1980년대 초에 울렌벡은 조나선 색스(Jonathan Sacks)와 함께 조화 지도의 특이점 연구와 게이지 이론을 양-밀스-힉스 방정식에 대한 부드러운 국소 해의 존재에 대한 응용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한 규칙성 추정을 확립했다.[EMI] [MIC] [RSY] 특히, 사이먼 도널드슨은 그들의 1981년 공동 논문인 《The exist of minimum immersions of 2-spheres》[EMI]를 "변분법이 하모닉 지도 방정식에 대한 일반적인 존재 결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전히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심층적 분석을 통하여 보여준 ... 기념비적인 논문"이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울렌벡은 1983년의 《쌍곡선 3-다양체에서의 닫힌 극소 표면》(Closed minimal surfaces in hyperbolic 3-manifods) 논문에서 쌍곡선 3-다양체에서 극소 곡면모듈리 이론 (최소 하위 다양체 이론이라고도 함)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시작했다.[18] [CMS]

구체적으로 그녀의 연구는, 사이먼 도널드슨에 의한 양-밀스 기하학적 탐구에서 양-밀스 범함수(functional)와 관련된 변분 미적분학의 분석적 측면에서 기초를 이루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19] 변분법 분야에 대한 그녀의 공헌에 대한 광범위한 탐구는 사이먼 도널드슨이 2019년 미국 수학회보(Notice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3월호에 발표하였다. 도널드슨은 싱퉁 야우, 리처드 숀 및 기타 여러 사람과 함께 울렌벡의 작업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녀는) 단일 집합의 차원, 모노토니시티, '작은 에너지' 결과, 탄젠트 콘 등과 같은 아이디어와 그 기법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개발하였는데, 이것들은 지난 수십 년 동안 미분 기하학의 많은 분야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도 많은 연구 활동의 초점을 형성하고 있다.(developing a ...whole circle of ideas and techniques involving the dimension of singular sets, monotonicity, 'small energy' results, tangent cones, etc. [that] has had a wide-ranging impact in many branches of differential geometry over the past few decades and forms the focus of much current research activity.)[20]

지원 활동

1991년 울렌벡은 허버트 클레먼스 및 댄 프리드와 함께 "더욱 광범위한 수학 직업에 걸쳐서, 복수의 병력적 커뮤니티를 위한 몰입형 교육 및 전문직 개발 기회의 제공"이라는 목적을 위한 파크 시티 수학 연구소(Park City Mathematics Institute, PCMI)를 공동 설립하였다.[21][6] 울렌벡은 또한 "더 많은 여성을 수학 분야에서 모집하여 유지하려는 사명을 가지고"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에 〈여성과 수학 프로그램〉을 공동 개설했다.[22][6]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작가인 짐 알칼릴리는 울렌벡을 수학 경력을 홍보하는 그녀의 업무를 위한 청소년, 특히 여성을 위한 "롤모델"로 기술하고 있다.[23]

사생활

울렌벡은 자칭 "닥치는대로 읽는 독서가"이자 "닥치는대로 생각하는 사상가"로,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의 책상 위에는 책 상자들이 쌓여 있다. 울렌벡은 2019년 3월 아벨상을 수상한 후 연구소 동료들에게 자발적으로 한 발언에서, 수학 분야 견습 기간 동안 눈에 띄는 여성 역할 모델이 없었기 때문에 셰프 줄리아 차일드를 대신 모방했다고 말하면서, "그녀는 어떻게 땅바닥에 있는 칠면조를 들어서 서빙하는 지를 알고 있었다"라고 하였다.[24]

수상 및 영예

2019년 3월, 울렌벡은 아벨상을 수상하게 된 최초의 여성이 되었는데, 아벨상 수상위원회에서는 그 이유로 "기하 편미분 방정식, 게이지 이론적분 가능계에 대한 선구적인 업적 및 이러한 업적이 해석학, 기하학수리물리학에 끼친 근본적인 파급효과"[8]를 들었다.[25] 수상위원회 회장인 한스 문테카스는 "그녀의 이론은 더 높은 차원에서의 더욱 일반적인 최소화 문제와 같은 최소 곡면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혁명적으로 변화시켰다"라고 하였다.[23] 그녀는 상금의 절반을 EDGE 재단(이후 카렌 EDGE 장학 프로그램을 설립함)과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의 여성과 수학(Women and Mathematics, WAM) 프로그램에 기부했다.[26]

울렌벡은 2000년에 미국 국가 과학 메달을 수상했으며,[2][3][27][28] 2007년에는 "수학적 게이지 이론의 해석학적 측면에 끼친 근본적인 기여"라고 하는[2][3] 연구 업적으로 미국 수학 학회르로이 스틸 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1982년의 논문 "Removable singularities in Yang–Mills fields"[RSY] 및 "Connections with bounds on curvature"에 기초한 것이다.[CLP] 그녀는 1983년에 맥아더 펠로우가 되었고,[2][3] 1985년에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펠로우가 되었다.[2][3] 또한 그녀는 1986년 국립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2][3][4] 그녀는 2001년에 구겐하임 펠로우가 되었고,[29] 2008년에는 런던 수학 학회 명예 회원,[2] 2012년에는 미국 수학회의 펠로우가 되었다.[30]

수학분야의 여성을 위한 협회(Association for Women in Mathematics)에서는, "현대 기하학 분석에 대한 그녀의 획기적이고 심오한 공헌, 그녀가 입학했을 때 여성이 직면한 상당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우리 시대의 가장 위대한 수학자 중 한 사람으로서 경력을 쌓은 점, 이러한 도전을 헤쳐나가는 그녀의 경험을 사용하여 미래 세대의 여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고 유지한 점, 및 일생 동안 차별을 타파한 점, 그리고 아벨상을 수상한 최초의 여성이 된 점"을 들어, 2020년 AWM 펠로우 클래스에 그녀를 선정하였다.[31]

그녀는 1988년 여성 수학회의 뇌터 강사였다.[17] 1990년에 그녀는 세계 수학자 대회의 전체 세션 강연자였는데, 이러한 강연을 한 여성은 에미 뇌터 이후 2번째에 불과하다.[2][3]

그녀의 다른 상으로는 미시건 대학교 금년의 동문(1984),[4] 시그마 카이 과학기술 영연방 상(1995),[4]이 있고, 그에게 명예박사학위를 수여한 학교로는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 대학교(2000)[2]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2001),[2][32] 미시간 대학교(2004),[2] 하버드 대학교(2007),[2] 프린스턴 대학교(2012)[33]가 있다.

간행물 일부

서적

연구 논문 기사

각주

추가 자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