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성 정치

정체성 정치는 전통적인 다양한 요소에 기반한 정당 정치나 드넓은 보편 정치에 속하지 않고 성별, 젠더, 종교, 장애, 민족, 인종, 성적지향, 문화 등 공유되는 집단 정체성을 기반으로 배타적인 정치 동맹을 추구하는 정치 운동이자 사상을 의미한다.[1][2] 정체성 정치라는 용어는 1960년 혹은 70년대 이후로 여러 형태로 사용되어 왔지만, 서로 다른 집단에 의하여 근본적으로 다른 의미로 사용되어왔다.[3][4] 이 용어는 여성운동, 미국의 민권운동, LGBT 운동, 내셔널리즘 운동 탈식민 운동 등의 출현으로 인지도를 얻게 되었다.[5]

역사

정치 담론에서 정체성 정치라는 용어는 적어도 1970년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6] 정체성 정치는 특정 범주화의 형태로서 특정한 사회집단이 억압받고 있다는 주장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따라서 그 집단에 속한 개인은 그들의 정체성으로 인하여 문화 제국주의, 폭력, 노동착취, 소외와 무력함에 더욱 취약하다는 것이다.[7] 따라서 이런 사회적 차이의 경계는 좀더 평등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권한부여나 방도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이다.[8]

어떤 집단은(대표적으로 흑표당) 마르크스주의 사회계급 분석과 계급의식을 정체성 정치와 결합하기도 했다. MOVE라는 집단은 흑인 민족주의와 아나코 원시주의(모든 문명과 기술을 거부하는 가장 극단적인 형태의 녹색정치)를 결합하기도 했다.[9][10] 정체성 정치는 좌익일 수도 우익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얼스터 충성주의, 이슬람주의, 기독교 정체성 운동 같은 것들이 있다.

1980년대를 거쳐 정체성 정치는 사회운동으로서 두드러지기 시작했고, 새로운 사회 운동의 물결로 간주되었다.[11]

2010년대 중반이후 정체성 정치는 극단화되어가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는데, 미국의 백인 정체성 정치 운동이 대표적이다. 이 현상은 인구 통계학적 다양성의 증가와 백인이 미국 사회에서 소수민족이 될거라는 피해망상적 음모론에 기인하는데, 이는 백인 학살(White genocide)이라고 불린다.[12]이런 사회적 분위기는 많은 이들이 다양성과 관련이 없는 보수적인 이유와 연계되게 만들었다.[13]

각주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