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신공양

인신공양(人身供養, 영어: human sacrifice)은 제사 때 산 사람을 신에게 희생물로 바친 것을 말한다. 옛날의 제사에서 공양의 희생물로 인간을 신에게 바친 일이며 '인신공여', '인신공희'라고도 한다.[1] 인권 개념이 희박하던 고대에 지역·종교·인종을 가리지 않고 보편적으로 나타나던 풍습이었다.[2]

잉카 문명의 인신공양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여자의 미라

역사

사람을 희생으로 바치는 제의는 죽은 자를 위한 영원한 봉사를 뜻하는 ‘순장(殉葬)’의 형태이지만 인류학적으로 볼 때 인신공양은 전 세계에 걸쳐 수렵시대·유목시대를 거쳐 농경시대까지 폭넓게 존재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신화와 전설, 고고학적 자료로 미루어 볼 때 페루·잉카·고대 이집트·메소포타미아·팔레스타인·이란·인도·그리스·로마·중국 등 고대 문명의 발상지에서는 대부분 인신공양이 있었다. 그러므로 제물을 신에게 바치는 종교적 행위의 기원이 인신공양에 있다는 설도 있다.

특히 고고학사에서 멕시코 지역(테오티우아칸[3])에 주목하는 이유는 바로 달의 피라미드 때문이다. 이 피라미드는 도시 전체를 관통하며 설계된 길인 이른바 ‘죽은 자의 길’ 끝에 우뚝 솟은 거대 피라미드였다. 종교적 상징성이 강했던 왕국답게 이 곳에서는 사람의 심장과 피를 제물을 바쳤던 것으로 연구됐다.

로마의 왕정 시대에 그리스도 교인들은 식인의 풍습이 있는 것으로 의심을 받아서 로마인들로부터 박해를 받기도 하였다.[4]

신에게 바치는 제물이었는데 놀라운 것은 ‘인신공양’가 다른 지역에서 사라진 뒤에도 유독 테오티우아칸[3] 을 중심으로 한 중남미 지역에서는 오래 유지됐다는 부분이다. 테오티우타칸[3] 이 7세기 홀연히 자취를 감춘 뒤에도 무려 16세기, 에스파냐가 이 지역을 점령한 뒤까지 이 의식이 유지됐다는 기록이다.[1][5]

한국사

신라의 인신공양

2000년 여름 국립경주박물관 미술관 부지의 발굴에서 우물 바닥 가까운 곳에서 유골이 발견된다.[6] 학자들은 이 8~9세 어린아이 유골을 9세기 통일신라 제의(祭儀)의 희생물로 추정하였다.[6] 이 우물은 신라 왕실에서 관리하는 것이 명백하였으며, 통일신라 말 혼란기에 왕실의 안전과 풍요를 비는 제사였을 수도 있었다.[6] 이 우물은 신라에 불교가 들어와 공인되기 전 인신공양의 흔적으로 분석되었다.[7]

경주 월성 해자에서도 여러 인골들이 나왔다.[8] 2015년부터 발굴 중이던 경주 궁터인 월성 성곽의 성벽 토층부에서 건장한 성인의 유골이 발견되는데 의도적으로 주검을 넣은 정황이 뚜렷하다.[8] 이 성곽에서 유골의 발굴은 다른 한반도 일대의 사례들에 비해 인신공양 제례의 실체가 가장 구체적으로 드러난 첫 사례이다.[8]

문무왕이 창건하여 호국법회를 열었던 봉덕사에[9] 성덕대왕신종의 전설도 있다.

백제의 인신공양

삼국시대 330년에 축조된[10] 전라북도 김제 벽골제에서 조사 때에 여러 인골들이 나와서 땅기운을 다스리는 풍습을 보여주었다.[8]

가야의 인신공양

창녕 송현동 가야고분군의 10대 순장소녀, 경상북도 고령 지산동 대가야 고분군의 무더기 순장 흔적 등이 있다.[8]

조선의 인신공양

400여년 전 청송에서는 선비 윤반을 살리기 위해서 동자승이 항아리에 담겨서 속에 들어갔다는 인신공양 민담이 전해진다.[11] 김필 선생이 축조한 장흥 어인보[12]는 보의 둑이 잘 터지니 산 사람을 제물을 바쳤다는 설화가 있으나 인과응보를 담은 내용도 있다.[13]

국보 305호 통영 세병관 건물을 지을때 에밀레종 전설처럼 통제사가 비구니 스님을 인신공양했다는 전설이 있다.[14]

설화

한국의 인신공양 관련 설화는 대체로 인신을 제물로 바치는 악습이 없어지게 된 유래담이 많다. 개성의 지네산전설, 청주 지네장터전설, 제주도의 금녕사굴전설 등이 있다.

이러한 인신공양 설화는 고전소설 『심청전』의 근원설화(根源說話)가 되기도 하였다. 『심청전』에 영향을 끼친 '거타지' 설화도 역시 인신공양을 줄거리로 삼고 있다. 거대한 토목공사를 할 때에 어떤 사람을 물 속이나 흙 속, 혹은 그 재료 속에 파묻는 것을 인주(人柱)라 하고, 인신을 제공하는 인신공여는 이를 소재로 한 설화로 인신공양 설화의 한 종류이다. 인신공여라는 설화는 신라성덕대왕신종 전설(에밀레종 전설)이 유명하다.[1]

인신공양 설화는 인신공양을 통하여 신과의 대화를 뜻한다. 이 설화는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있어 각종 구비전승과 신화에서 발견된다.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