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태권도 메달리스트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태권도올림픽 경기 종목 중 하나이다. 1988년1992년시범 종목으로 채택된 태권도는 1994년 9월 4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103차 IOC 총회에서 태권도가 올림픽 정식 종목에 포함되었고[2]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열린 2000년 하계 올림픽부터 적용되었다.[3] 정식 종목 채택 당시에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가 출전 선수를 128명으로 제한했고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처럼 8종목이 아닌 플라이급, 페더급, 미들급, 헤비급 총 4종목만 진행하기로 결정하였다.[4] 또한 2012년 하계 올림픽까지는 특정 국가의 독주를 막기 위해 한 나라에서 최대 4개의 종목에만 나갈 수 있었다.[5] 하지만 세계태권도연맹2016년 하계 올림픽부터 태권도 랭킹에 따른 자동출전권을 부여하며 한 국가가 최대 8종목 모두 나갈 수 있게 되었다.[6]

올림픽 태권도
올림픽 태권도
올림픽 태권도
Taekwondo
경기 단체세계 태권도 연맹 (WT)
세부 종목8개 종목[1]
남자 종목4개 종목[1]
여자 종목4개 종목[1]
 하계 올림픽
1896 · 1900 · 1904 · 1908 · 1912 · 1920 · 1924 · 1928 · 1932 · 1936 · 1948 · 1952 ·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메달리스트 · 경기장

경기 규칙은 세계 태권도 연맹이 지정한 방식으로 진행한다.[7]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하여 금메달과 은메달을 결정하고 동메달은 패자부활전으로 결정한다.[8] 16강이나 8강전에서 결승에 오른 선수에게 패배한 선수가 패자부활전 출전 자격을 얻는다. 이후 준결승전에서 패배한 선수와 동메달 결정전을 치러 승리한 2명에게 동메달을 수여한다.[9] 다만 2000년2004년에는 승리한 2명이 한번 더 경기를 하여 승리한 선수에게만 동메달을 수여했다.

이란하디 사에이, 미국스티븐 로페스, 대한민국황경선, 그리고 멕시코마리아 에스피노사는 총 3개의 메달을 획득한 올림픽 태권도 최대 메달리스트들이다.[10][11] 특히 황경선은 여성 최초로 올림픽 태권도에서 3개의 메달을 획득한 선수다. 하디 사에이, 스티븐 로페스, 황즈슝, 이대훈, 그리고 알렉세이 데니센코는 2개 체급에서 메달을 획득하였다. 최연소 메달리스트는 중화 타이베이지수루 선수로 당시 나이는 만 17세 10개월 1일이었다. 최고령 메달리스트는 이란하디 사에이로 당시 나이는 만 32세 2개월 13일이었다.[10][12] 최다 메달 획득 가문은 로페스 가문이다. 스티븐 로페스는 총 5번 출전하여 금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고, 동생인 마크 로페스다이애나 로페스2008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에 참가하여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13]

일부 국가에서는 태권도를 통해, 그 나라의 스포츠 사상 첫 올림픽 메달을 따내기도 한다.[14] 쩐히에우응언은 2000년에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이는 베트남의 첫 번째 올림픽 메달이다.[15] 로훌라 니크파이는 2008년에 동메달을 획득하며 아프가니스탄의 첫 번째 메달리스트가 되었다.[16] 또한 앙토니 오바메는 2012년 은메달을 획득하며 가봉의 첫 번째 메달리스트가 되었다.[17]천스신주무옌은 2004년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중화 타이베이의 올림픽 사상 첫 번째 및 두 번째 금메달이다.[18] 이때 정치적 문제로 중화민국이나 타이완이 아닌 중화 타이베이 선수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국기와 국가가 없이 시상하여 화제가 되었다. 셰이크 살라 시세 또한 2016년에 금메달을 획득하며 코트디부아르의 첫 번째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19]아흐마드 아부가우시또한 요르단 대표로 참가하여 첫 메달을 획득했고[20], 압둘 라자크 이수푸니제르 대표로 참가하여 첫 은메달을 획득했다.[21] 키미아 알리자데2016년에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이란이 여성 선수를 출전허용한 1992년 하계 올림픽 이후로 24년만에 획득한 첫 여성 선수 메달리스트이다.[22]

대한민국이 19개(금메달 12개, 은메달 3개, 동메달 7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1위를 기록하고 있다.[23] 이어서 중국이 10개(금메달 7개, 은메달 1개, 동메달 3개)의 메달로 2위를 기록하고 있다.

목차
남자

58kg급(플라이급) •68kg급(페더급) •80kg급(미들급) •+80kg급(헤비급)

여자

49kg급(플라이급) •57kg급(페더급) •67kg급(미들급) •+67kg급(헤비급)

메달 집계   선수별 순위   같이 보기   참조

남자

58kg급(플라이급)

주무옌은 2004년 58kg급에 참가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종목
2000 시드니
자세히
미하일 무루초스[24]
그리스
가브리엘 에스파르사[25]
스페인
황즈슝[25]
중화 타이베이
2004 아테네
자세히
주무옌[18]
중화 타이베이
오스카르 살라사르[26]
멕시코
타메르 바유미[26]
이집트
2008 베이징
자세히
기예르모 페레스[27]
멕시코
가브리엘 메르세데스[27]
도미니카 공화국
로훌라 니크파이[16]
아프가니스탄
주무옌[27]
중화 타이베이
2012 런던
자세히
호엘 곤살레스[28]
스페인
이대훈[28]
대한민국
알렉세이 데니센코[28]
러시아
오스카르 무뇨스[28]
콜롬비아
2016 리우데자네이루
자세히
자오솨이[29]
중화인민공화국
테윈 한쁘랍[29]
태국
루이시토 피에[29]
도미니카 공화국
김태훈[29]
대한민국
2020 도쿄
자세히
비토 델라퀼라
이탈리아
무함마드 할릴 젠두비
튀니지
미하일 아르타모노프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장준
대한민국

68kg급(페더급)

하디 사에이는 올림픽에 총 3번 참가하여 금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종목
2000 시드니
자세히
스티븐 로페스[30]
미국
신준식[30]
대한민국
하디 사에이[30]
이란
2004 아테네
자세히
하디 사에이[26]
이란
황즈슝[26]
중화 타이베이
송명섭[31]
대한민국
2008 베이징
자세히
손태진[32]
대한민국
마크 로페스[32]
미국
세르베트 타제귈[32]
튀르키예
쑹위치[32]
중화 타이베이
2012 런던
자세히
세르베트 타제귈[33]
튀르키예
모함마드 바게리 모타메드[33]
이란
테런스 제닝스[33]
미국
로훌라 니크파이[33]
아프가니스탄
2016 리우데자네이루
자세히
아흐마드 아부가우시[34]
요르단
알렉세이 데니센코[34]
러시아
호엘 곤살레스[34]
스페인
이대훈[34]
대한민국
2020 도쿄
자세히
울루그베크 라시토프
우즈베키스탄
브래들리 신든
영국
하칸 레치베르
튀르키예
자오솨이
중화인민공화국

80kg급(미들급)

스티븐 로페스는 2000년부터 2016년까지 5번 참가하여 금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종목
2000 시드니
자세히
앙헬 마토스[24]
쿠바
파이살 에브누탈리브[24]
독일
빅토르 에스트라다[24]
멕시코
2004 아테네
자세히
스티븐 로페스[26]
미국
바흐리 탄르쿨루[26]
튀르키예
유세프 카라미[26]
이란
2008 베이징
자세히
하디 사에이[35]
이란
마우로 사르미엔토[35]
이탈리아
주궈[35]
중화인민공화국
스티븐 로페스[35]
미국
2012 런던
자세히
세바스티안 크리스마니치[36]
아르헨티나
니콜라스 가르시아[36]
스페인
마우로 사르미엔토[36]
이탈리아
루탈로 무함마드[36]
영국
2016 리우데자네이루
자세히
셰이크 살라 시세[19]
코트디부아르
루탈로 무함마드[37]
영국
밀라드 베이기[37]
아제르바이잔
우사마 우살라티[37]
튀니지
2020 도쿄
자세히
막심 흐람초프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살리흐 알샤라바티
요르단
토니 카나에트
크로아티아
사이프 에이사
이집트

+80kg급(헤비급)

차동민은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올림픽에 3번 참가하여 2008년에는 금메달을 2016년에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종목
2000 시드니
자세히
김경훈[24]
대한민국
대니얼 트렌턴[24]
오스트레일리아
파스칼 장틸[24]
프랑스
2004 아테네
자세히
문대성[26]
대한민국
알렉산드로스 니콜라이디스[26]
그리스
파스칼 장틸[26]
프랑스
2008 베이징
자세히
차동민[38]
대한민국
알렉산드로스 니콜라이디스[38]
그리스
치카 추크우메리제[38]
나이지리아
아르만 칠마노프[38]
카자흐스탄
2012 런던
자세히
카를로 몰페타[39]
이탈리아
앙토니 오바메[17]
가봉
로벨리스 데스파이네[39]
쿠바
류샤오보[39]
중화인민공화국
2016 리우데자네이루
자세히
라디크 이사예프[40]
아제르바이잔
압둘 라자크 이수푸[40]
니제르
마이콩 시케이라[40]
브라질
차동민[40]
대한민국
2020 도쿄
자세히
블라디슬라프 라린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데얀 게오르기에프스키
북마케도니아
인교돈
대한민국
라파엘 알바
쿠바

여자

49kg급(플라이급)

천스신은 2004년에 49kg급에 참가하여 중화 타이베이의 사상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종목
2000 시드니
자세히
로렌 번스[25]
오스트레일리아
우비아 멜렌데스[25]
쿠바
지수루[25]
중화 타이베이
2004 아테네
자세히
천스신[18]
중화 타이베이
야넬리스 라브라다[26]
쿠바
야오와파 부라폰차이[26]
태국
2008 베이징
자세히
우징위[27]
중화인민공화국
붓리 프앗퐁[27]
태국
다이넬리스 몬테호[27]
쿠바
달리아 콘트레라스[27]
베네수엘라
2012 런던
자세히
우징위[28]
중화인민공화국
브리히테 야궤[28]
스페인
차나팁 손캄[28]
태국
루치야 자니노비치[28]
크로아티아
2016 리우데자네이루
자세히
김소희[29]
대한민국
티야나 보그다노비치[29]
세르비아
파티마트 아바카로바[29]
아제르바이잔
파니팍 옹파타나낏[29]
태국
2020 도쿄
자세히
파니팍 웡파타나낏
태국
아드리아나 세레소
스페인
티야나 보그다노비치
세르비아
아비샤그 셈베르그
이스라엘

57kg급(페더급)

2016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57kg급 대회 종료 후 수상자들이 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에바 칼보, 제이드 존스, 키미아 알리자데, 헤디야 말라크
종목
2000 시드니
자세히
정재은[30]
대한민국
쩐히에우응언[15]
베트남
하미데 븍츤 토순[30]
튀르키예
2004 아테네
자세히
장지원[31]
대한민국
니아 압달라[31]
미국
이리디아 살라사르[26]
멕시코
2008 베이징
자세히
임수정[32]
대한민국
아지지 탄르쿨루[32]
튀르키예
다이애나 로페스[32]
미국
마르티나 주브치치[32]
크로아티아
2012 런던
자세히
제이드 존스[33]
영국
허우위줘[33]
중화인민공화국
마를렌 아르누아[33]
프랑스
쩡리청[33]
중화 타이베이
2016 리우데자네이루
자세히
제이드 존스[34]
영국
에바 칼보[34]
스페인
헤디야 말라크[34]
이집트
키미아 알리자데[34]
이란
2020 도쿄
자세히
애너스테이시야 졸로티치
미국
타티야나 미니나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뤄자링
중화 타이베이
하티제 퀴브라 일귄
튀르키예

67kg급(미들급)

황경선은 올림픽에 총 3번 참가하여 금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종목
2000 시드니
자세히
이선희[24]
대한민국
트루데 군데르센[24]
노르웨이
오카모토 요리코[24]
일본
2004 아테네
자세히
뤄웨이[26]
중화인민공화국
엘리사베트 미스타키두[26]
그리스
황경선[41]
대한민국
2008 베이징
자세히
황경선[35]
대한민국
카린 세르제리[35]
캐나다
글라디스 에팡그[35]
프랑스
산드라 샤리치[35]
크로아티아
2012 런던
자세히
황경선[36]
대한민국
누르 타타르[36]
튀르키예
페이지 맥퍼슨[36]
미국
헬레나 프롬[36]
독일
2016 리우데자네이루
자세히
오혜리[37]
대한민국
아비 니아레[37]
프랑스
뤼트 그바그비[37]
코트디부아르
누르 타타르[37]
튀르키예
2020 도쿄
자세히
마테아 옐리치
크로아티아
로런 윌리엄스
영국
뤼트 그바그비
코트디부아르
헤디야 말라크
이집트

+67kg급(헤비급)

밀리차 만디치는 2012년에 +67kg급에 참가하여 세르비아의 올림픽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종목
2000 시드니
자세히
천중[24]
중화인민공화국
나탈리야 이바노바[24]
러시아
도미니크 보스허트[24]
캐나다
2004 아테네
자세히
천중[26]
중화인민공화국
미리암 바베렐[26]
프랑스
아드리아나 카르모나[26]
베네수엘라
2008 베이징
자세히
마리아 에스피노사[38]
멕시코
니나 솔헤임[38]
노르웨이
세라 스티븐슨[38]
영국
나탈리아 팔라비냐[38]
브라질
2012 런던
자세히
밀리차 만디치[39]
세르비아
안카롤린 그라프[39]
프랑스
마리아 에스피노사[39]
멕시코
아나스타시야 바리시니코바[39]
러시아
2016 리우데자네이루
자세히
정수인[40]
중화인민공화국
마리아 에스피노사[40]
멕시코
비앙카 워크든[40]
영국
재키 갤러웨이[40]
미국
2020 도쿄
자세히
밀리차 만디치
세르비아
이다빈
대한민국
알테아 로랭
프랑스
비앙카 워크든
영국

메달 집계

연도별 메달 집계

Nation1896–19960004081216Total
아프가니스탄 (AFG)11-2
아르헨티나 (ARG)-1-1
오스트레일리아 (AUS)2--2
아제르바이잔 (AZE)--33
브라질 (BRA)1-12
캐나다 (CAN)11--2
중화인민공화국 (CHN)1223210
중화 타이베이 (TPE)2321-8
크로아티아 (CRO)21-3
콜롬비아 (COL)-1-1
쿠바 (CUB)2111-5
도미니카 공화국 (DOM)112
이집트 (EGY)112
프랑스 (FRA)121217
가봉 (GAB)-1-1
독일 (GER)11-2
영국 (GBR)1236
그리스 (GRE)121-4
이란 (IRI)121116
이탈리아 (ITA)12-3
코트디부아르 (CIV)---22
일본 (JPN)1-1
요르단 (JOR)-11
카자흐스탄 (KAZ)1-1
멕시코 (MEX)122117
니제르 (NIG)-11
나이지리아 (NGR)1-1
노르웨이 (NOR)11-2
러시아 (RUS)1214
세르비아 (SRB)---112
대한민국 (KOR)4442519
스페인 (ESP)1326
태국 (THA)11125
튀르키예 (TUR)22217
미국 (USA)123219
베네수엘라 (VEN)11-2
베트남 (VIE)1-1

선수별 메달 순위

다음은 2개 이상의 메달을 획득한 선수의 목록이다.

선수국적성별출전 년도합계
하디 사에이 이란 (IRI)남자2000–20082013
스티븐 로페스 미국 (USA)남자2000–20082013
황경선 대한민국 (KOR)여자2004–20122013
천중 중화인민공화국 (CHN)여자2000–20042002
우징위 중화인민공화국 (CHN)여자2008–20122002
제이드 존스 영국 (GBR)여자2012–20162002
밀리차 만디치 세르비아 (SRB)여자2012–20202002
마리아 에스피노사 멕시코 (MEX)여자2008–20161113
주무옌 중화 타이베이 (TPE)남자2004–20081012
자오솨이 중화인민공화국 (CHN)남자2016–20201012
세르베트 타제귈 튀르키예 (TUR)남자2008–20121012
차동민 대한민국 (KOR)남자2008–20161012
호엘 곤살레스 스페인 (ESP)남자2012–20161012
알렉산드로스 니콜라이디스 그리스 (GRE)남자2004–20080202
황즈슝 중화 타이베이 (TPE)남자2000–20040112
티야나 보그다노비치 세르비아 (SRB)여자2016–20200112
마우로 사르미엔토 이탈리아 (ITA)남자2008–20120112
알렉세이 데니센코 러시아 (RUS)남자2012–20160112
이대훈 대한민국 (KOR)남자2012–20160112
루탈로 무함마드 영국 (GBR)남자2012–20160112
누르 타타르 튀르키예 (TUR)여자2012–20160112
파스칼 장틸 프랑스 (FRA)남자2000–20040022
로훌라 니크파이 아프가니스탄 (AFG)남자2008–20120022
뤼트 그바그비 코트디부아르 (CIV)여자2016–20200022
비앙카 워크든 영국 (GBR)여자2016–20200022

같이 보기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