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수신

6수신(六受身)은 대상을 받아들여 (苦: 괴로움) · (樂: 즐거움) · 불고불락(不苦不樂: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음)으로 판별하는 감수(感受) 또는 지각(知覺)의 마음작용(受: 느낌) 또는 수온(受蘊)을 그것의 발동근거인 6근(六根)에 따라 6종으로 나눈 것이다.[1][2][3][4][5]

6수신(六受身)에서 (身)은 집합 또는 복수를 나타내는 복수형 접미사로, 6수신은 6수(六受)와 같은 말이다.[6][7]

경전과 논서에 따라 6수신의 각각을 지칭하는 명칭이 약간 다른데 《잡아함경》 제13권 제304경 〈육륙경(六六經)〉에서는 안촉생수(眼觸生受) · 이촉생수(耳觸生受) · 비촉생수(鼻觸生受) · 설촉생수(舌觸生受) · 신촉생수(身觸生受) · 의촉생수(意觸生受)라고 하고 있다.[8][9]

구사론》 제1권에서는 안촉소생수(眼觸所生受) · 이촉소생수(耳觸所生受) · 비촉소생수(鼻觸所生受) · 설촉소생수(舌觸所生受) · 신촉소생수(身觸所生受) · 의촉소생수(意觸所生受)라고 하고 있다.[1][2][4]

현대의 불교사전 등에서는 안촉수(眼觸受) · 이촉수(耳觸受) · 비촉수(鼻觸受) · 설촉수(舌觸受) · 신촉수(身觸受) · 의촉수(意觸受)라고 하고 있다.[3]

출전

 12연기
혹: 주황
업: 파랑
고: 노랑
 
① 무명
② 행
③ 식
④ 명색
⑤ 6입
⑥ 촉
⑦ 수
⑧ 애
⑨ 취
⑩ 유
⑪ 생
⑫ 노사
v  d  e  h

초기불교 경전인 《잡아함경》 제16권 제452경 〈촉경(觸經) ①〉에서 고타마 붓다는 갖가지 경계[界] 즉 18계(十八界)로부터 6촉신(六觸身)이 생겨나고, 6촉신으로부터 6수신(六受身)이 생겨나고, 6수신으로부터 6애신(六愛身)이 생겨나는 연기관계를 설하고 있다.[10][11]

如是我聞。 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爾時。世尊告諸比丘。緣種種界生種種觸。緣種種觸生種種受。緣種種受生種種愛。云何種種界。謂十八界。眼界.色界.眼識界。乃至意界.法界.意識界。是名種種界。 云何緣種種界生種種觸。乃至云何緣種種受生種種愛。謂緣眼界生眼觸。緣眼觸生眼觸生受。緣眼觸生受生眼觸生愛。耳.鼻.舌.身.意界緣生意觸。緣意觸生意觸生受。緣意觸生受生意觸生愛。 諸比丘。非緣種種愛生種種受。非緣種種受生種種觸。非緣種種觸生種種界。要緣種種界生種種觸。緣種種觸生種種受。緣種種受生種種愛。是名比丘緣種種界生種種觸。緣種種觸生種種受。緣種種受生種種愛。 佛說此經已。諸比丘聞佛所說。歡喜奉行。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이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갖가지 경계[界]를 인연하여 갖가지 접촉[觸]이 생기고, 갖가지 접촉[觸]을 인연하여 갖가지 느낌[受]이 생기며, 갖가지 느낌[受]을 인연하여 갖가지 애욕[愛]이 생기느니라. 어떤 것을 갖가지 경계[界]라고 하는가? 이른바 18계(十八界)로서 안계(眼界) · 색계(色界) · 안식계(眼識界) ……(내지)…… 의계(意界) · 법계(法界) · 의식계(意識界)이니, 이를 갖가지 경계[界]라고 하느니라.
어떤 것을 갖가지 경계[界]를 인연하여 갖가지 접촉[觸]이 생기며 ……(내지)……어떤 것을 갖가지 느낌[受]을 인연하여 갖가지 애욕[愛]이 생기는 것이라고 하는가?
이른바 안계(眼界)를 인연하여 안촉(眼觸)이 생기고, 안촉(眼觸)을 인연하여 안촉이 일으키는 느낌[眼觸生受]이 생기며, 안촉이 일으킨 느낌[眼觸生受]을 인연하여 안촉이 일으키는 애욕[眼觸生愛]이 생긴다. 이계(耳界) · 비계(鼻界) · 설계(舌界) · 신계(身界)도 마찬가지이며, 의계(意界)를 인연하여 의촉(意觸)이 생기고, 의촉(意觸)을 인연하여 의촉이 일으키는 느낌[意觸生受]이 생기며, 의촉이 일으킨 느낌[意觸生受]을 인연하여 의촉이 일으키는 애욕[意觸生愛]이 생기느니라.
비구들아, 갖가지 애욕[愛]을 인연하여 갖가지 느낌[受]이 생기는 것이 아니요, 갖가지 느낌[受]을 인연하여 갖가지 접촉[觸]이 생기는 것도 아니며, 갖가지 접촉[觸]을 인연하여 갖가지 경계[界]가 생기는 것도 아니니라. 반드시 갖가지 경계[界]를 인연해야 갖가지 접촉[觸]이 생기고, 갖가지 접촉[觸]을 인연해야 갖가지 느낌[受]이 생기며, 갖가지 느낌[受]을 인연해야 갖가지 애욕[愛]이 생기는 것이다.
이것을 비구들아, 갖가지 경계[界]를 인연하여 갖가지 접촉[觸]이 생기고, 갖가지 접촉[觸]을 인연하여 갖가지 느낌[受]이 생기며, 갖가지 느낌[受]을 인연하여 갖가지 애욕[愛]이 생기는 것이라고 하느니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잡아함경》 제16권 제452경 〈촉경(觸經) ①〉. 한문본 & 한글본

6수신

안촉생수

안촉생수(眼觸生受) · 안촉소생수(眼觸所生受) 또는 안촉수(眼觸受)는 안촉으로 생기는 느낌 또는 안촉에 의해 생겨난 수로 번역된다.

안근색경안식화합안촉(眼觸)과 동시에 생겨나는 (느낌), 즉 시각적 지각(느낌), 즉 시각적  ·  · 불고불락영납 · 지각 · 느낌 · 지각작용 · 감수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12][13][14]

안촉소생수(眼觸所生受)는 안근[眼]과 색경[色]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안식(眼識)이 생겨날 때, 안근 · 색경 · 안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受)이다.
이 때 안근안촉소생수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색경안촉소생수소연(所緣)이 된다. 안촉안촉소생수(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안촉소생수는 안촉소생작의(眼觸所生作意) 즉 안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안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색경에 대한[於眼所識色] 모든 (受: 영납과 느낌) · 등수(等受: 그 모두에 대한 영납과 느낌) · 각별등수(各別等受: 각각 따로따로에 대한 영납과 느낌) · 이수(已受: 과거의 영납과 느낌) · 수류(受類: 영납과 느낌의 등류)를 통칭하여 안촉소생수(眼觸所生受)라 이름한다.

이촉생수

이촉생수(耳觸生受) · 이촉소생수(耳觸所生受) 또는 이촉수(耳觸受)는 이촉으로 생기는 느낌 또는 이촉에 의해 생겨난 수로 번역된다.

이근성경이식화합이촉(耳觸)과 동시에 생겨나는 (느낌), 즉 청각적 지각(느낌), 즉 청각적  ·  · 불고불락영납 · 지각 · 느낌 · 지각작용 · 감수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12][13]

이촉소생수(耳觸所生受)는 이근[耳]과 성경[聲]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이식(耳識)이 생겨날 때, 이근 · 성경 · 이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受)이다.
이 때 이근이촉소생수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성경이촉소생수소연(所緣)이 된다. 이촉이촉소생수(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이촉소생수는 이촉소생작의(耳觸所生作意) 즉 이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이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성경에 대한[於耳所識聲] 모든 (受: 영납과 느낌) · 등수(等受: 그 모두에 대한 영납과 느낌) · 각별등수(各別等受: 각각 따로따로에 대한 영납과 느낌) · 이수(已受: 과거의 영납과 느낌) · 수류(受類: 영납과 느낌의 등류)를 통칭하여 이촉소생수(耳觸所生受)라 이름한다.

비촉생수

비촉생수(鼻觸生受) · 비촉소생수(鼻觸所生受) 또는 비촉수(鼻觸受)는 비촉으로 생기는 느낌 또는 비촉에 의해 생겨난 수로 번역된다.

비근향경비식화합비촉(鼻觸)과 동시에 생겨나는 (느낌), 즉 후각적 지각(느낌), 즉 후각적  ·  · 불고불락영납 · 지각 · 느낌 · 지각작용 · 감수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12][13]

비촉소생수(鼻觸所生受)는 비근[鼻]과 향경[香]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비식(鼻識)이 생겨날 때, 비근 · 향경 · 비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受)이다.
이 때 비근비촉소생수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향경비촉소생수소연(所緣)이 된다. 비촉비촉소생수(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비촉소생수는 비촉소생작의(鼻觸所生作意) 즉 비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비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향경에 대한[於鼻所識香] 모든 (受: 영납과 느낌) · 등수(等受: 그 모두에 대한 영납과 느낌) · 각별등수(各別等受: 각각 따로따로에 대한 영납과 느낌) · 이수(已受: 과거의 영납과 느낌) · 수류(受類: 영납과 느낌의 등류)를 통칭하여 비촉소생수(鼻觸所生受)라 이름한다.

설촉생수

설촉생수(舌觸生受) · 설촉소생수(舌觸所生受) 또는 설촉수(舌觸受)는 설촉으로 생기는 느낌 또는 설촉에 의해 생겨난 수로 번역된다.

설근미경설식화합설촉(舌觸)과 동시에 생겨나는 (느낌), 즉 미각적 지각(느낌), 즉 미각적  ·  · 불고불락영납 · 지각 · 느낌 · 지각작용 · 감수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12][13]

설촉소생수(舌觸所生受)는 설근[舌]과 미경[味]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설식(舌識)이 생겨날 때, 설근 · 미경 · 설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受)이다.
이 때 설근설촉소생수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미경설촉소생수소연(所緣)이 된다. 설촉설촉소생수(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설촉소생수는 설촉소생작의(舌觸所生作意) 즉 설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설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미경에 대한[於舌所識味] 모든 (受: 영납과 느낌) · 등수(等受: 그 모두에 대한 영납과 느낌) · 각별등수(各別等受: 각각 따로따로에 대한 영납과 느낌) · 이수(已受: 과거의 영납과 느낌) · 수류(受類: 영납과 느낌의 등류)를 통칭하여 설촉소생수(舌觸所生受)라 이름한다.

신촉생수

신촉생수(身觸生受) · 신촉소생수(身觸所生受) 또는 신촉수(身觸受)는 신촉으로 생기는 느낌 또는 신촉에 의해 생겨난 수로 번역된다.

신근촉경신식화합신촉(身觸)과 동시에 생겨나는 (느낌), 즉 촉각적 지각(느낌), 즉 촉각적  ·  · 불고불락영납 · 지각 · 느낌 · 지각작용 · 감수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12][13]

신촉소생수(身觸所生受)는 신근[身]과 촉경[觸]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신식(身識)이 생겨날 때, 신근 · 촉경 · 신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受)이다.
이 때 신근신촉소생수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촉경신촉소생수소연(所緣)이 된다. 신촉신촉소생수(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신촉소생수는 신촉소생작의(身觸所生作意) 즉 신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신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촉경에 대한[於身所識觸] 모든 (受: 영납과 느낌) · 등수(等受: 그 모두에 대한 영납과 느낌) · 각별등수(各別等受: 각각 따로따로에 대한 영납과 느낌) · 이수(已受: 과거의 영납과 느낌) · 수류(受類: 영납과 느낌의 등류)를 통칭하여 신촉소생수(身觸所生受)라 이름한다.

의촉생수

의촉생수(意觸生受) · 의촉소생수(意觸所生受) 또는 의촉수(意觸受)는 의촉으로 생기는 느낌 또는 의촉에 의해 생겨난 수로 번역된다.

의근법경의식화합의촉(意觸)과 동시에 생겨나는 (느낌), 즉 정신적 지각(느낌), 즉 정신적  ·  · 불고불락영납 · 지각 · 느낌 · 지각작용 · 감수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12][13]

의촉소생수(意觸所生受)는 의근[意]과 법경[法]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의식(意識)이 생겨날 때, 의근 · 법경 · 의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受)이다.
이 때 의근의촉소생수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법경의촉소생수소연(所緣)이 된다. 의촉의촉소생수(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의촉소생수는 의촉소생작의(意觸所生作意) 즉 의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의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법경에 대한[於意所識法] 모든 (受: 영납과 느낌) · 등수(等受: 그 모두에 대한 영납과 느낌) · 각별등수(各別等受: 각각 따로따로에 대한 영납과 느낌) · 이수(已受: 과거의 영납과 느낌) · 수류(受類: 영납과 느낌의 등류)를 통칭하여 의촉소생수(意觸所生受)라 이름한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K.650, T.99). 《잡아함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50(18-707), T.99(2-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49,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49(25-149), T.1542(26-692).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T.99). 《잡아함경(雜阿含經)》. 대정신수대장경. T2, No. 9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우 조, 현장 한역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대정신수대장경. T26, No. 154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