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2호선

대한민국 서울의 도시철도 중 하나

서울 지하철 2호선(서울 地下鐵 2號線) 혹은 수도권 전철 2호선(首都圈 電鐵 2號線)은 대한민국 서울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운행 계통이다. 서울 주요 지역을 순환한 을지로순환선, 성수역신설동역을 잇는 성수지선[내용주 1], 신도림역까치산역을 잇는 신정지선으로 구성된다.

서울 지하철 2호선
구로디지털단지역에 진입 중인 208편성
구로디지털단지역에 진입 중인 214편성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
종류도시 철도
체계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
상태영업 중
기점본선: 시청역
(서울특별시 중구)
성수지선: 성수역
(서울특별시 성동구)
신정지선: 신도림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종점본선: 시청역
(서울특별시 중구)
성수지선: 신설동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신정지선: 까치산역
(서울특별시 강서구)
역 수51
개통일1980년 10월 31일(신설동~종합운동장)
1982년 12월 23일(종합운동장~교대)
1983년 9월 16일(을지로입구~성수)
1983년 12월 17일(교대~서울대입구)
1984년 5월 22일(서울대입구~을지로입구)
1992년 5월 22일(신도림~양천구청)
1996년 2월 29일(양천구청~신정네거리)
1996년 3월 20일(신정네거리~까치산)
소유자서울특별시
운영자서울교통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시청~시청 본선: 49.1 km
성수~신설동 성수지선: 5.4 km
신도림~까치산 신정지선: 6.0 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2(시청 - 시청, 성수 - 신설동, 도림천 - 신정네거리)
전철화가공전차선·가공강체가선
직류 1,500 V
신호 방식Nippon Signal ATS,ATS-P
(2022년 종료)[1]
LZB/ATP/ATO [수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LZB/ATP/ATO 구간 80km/h
서울 지하철 2호선
km
0.0
201 시청
0.7
202 을지로입구
1.5
203 을지로3가
2.1
204 을지로4가
3.1
205 동대문역사문화공원
4.0
206 신당
4.9
207 상왕십리
5.7
208 왕십리
6.7
209 한양대
7.8
210 뚝섬
8.6
0.0
211 성수
2.3
211-1 용답/군자차량사업소
3.3
211-2 신답
4.2
211-3 용두
5.4
211-4 신설동
연결선
9.8
212 건대입구
11.4
213 구의
12.3
214 강변
(한강, 잠실철교)
14.1
215 잠실나루
15.1
216 잠실
16.3
217 잠실새내
17.5
218 종합운동장
18.5
219 삼성
19.8
220 선릉
21.0
221 역삼
21.8
222 강남
23.0
223 교대
23.7
224 서초
25.4
225 방배
27.0
226 사당
28.7
227 낙성대
29.7
228 서울대입구
30.7
229 봉천
31.8
230 신림
33.6
231 신대방
34.7
232 구로디지털단지
35.8
233 대림
37.6
0.0
234 신도림
1.0
234-1 도림천
2.7
234-2 양천구청
4.6
234-3 신정네거리
연결선
6.0
234-4 까치산
38.8
235 문래
39.7
236 영등포구청
40.8
237 당산
(한강, 당산철교)
42.8
238 합정
43.9
239 홍대입구
45.2
240 신촌
46.0
241 이대
46.9
242 아현
47.7
243 충정로
48.8
201 시청

운행 계통은 을지로순환선을 시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순환내선순환, 외선순환과 성수지선, 신정지선을 왕복하는 운행 계통이 있다. 노선 안내 등에 사용되는 색상은 녹색이다.

2012년 기준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붐비는 노선으로 서울 지하철 전체 이용 승객의 31%인 일평균 204만 8000명이 이 노선을 이용하고 있다.[2] 전 구간을 서울교통공사가 담당한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개요

플랩식 행선 안내기, LED 행선 안내기 도입 이전까지 1기 지하철 구간에서 사용하였다. 서울 지하철 2호선에는 2010년까지 남아 있었으며 2005년에 일부 역사에 새로운 행선 안내기가 설치됐지만, 사업자의 계약 문제로 얼마 뒤 철거되었고, 2010년 새 사업자가 선정되어 행선 안내기가 LCD 방식 신형으로 교체되면서 현재는 모두 철거되었다.

구자춘 전 서울시장의 3핵도시 구상[내용주 2]에 따라 1972년의 계획[내용주 3]을 파기하고 계획한 노선으로,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1988 서울 올림픽, 2036 서울 올림픽을 대비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는 특징도 있다.

서울 도심과 부도심을 이으며 도심에서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서울 지하철수도권 전철 각 노선을 잇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혼잡도가 높은 편이며, 특히 오전 8시 ~ 오전 9시, 교대 - 강남 구간은 아침 출근 시간대를 기준으로 대한민국 철도 노선 중 최고의 혼잡률인 225%의 혼잡률을 보였다. 2호선의 전동차 정원은 1576명[내용주 4] 인 것을 감안하면 이는 가장 혼잡한 시간대에는 한 편의 전동차가 평균 3514.5명의 인원을 수송하였음을 보여준다.

운영

운행

외선·내선 순환

서류 상의 기준점은 시청역이나, 운영 및 열차 운행에 있어서는 성수역신도림역이 기준점이 된다. 내선 순환은 순환선을 시계 방향으로 도는 운행 계통이며, 외선 순환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돈다. 이전에는 노선의 별칭을 따라 이 운행 계통을 을지로 순환선으로 불렀으나 현재는 잘 쓰이지 않는다. 모든 열차가 각 역에 정차하며, 대부분의 열차는 차량기지 인근에 위치한 성수역 혹은 신도림역을 출발하여 본선을 몇 바퀴를 돈 뒤 다시 성수역 또는 신도림역에서 운행을 마치는 형태로 운행된다. 이외에도 막차 시간대에는 을지로입구역, 서울대입구역, 삼성역, 홍대입구역 종착 열차가 있으며 이들은 해당 역의 주박선에서 주박을 하고, 다음 날 새벽에 첫차로 운행 후 차량기지로 입고한다. 순환선 전 구간을 한 바퀴 운행하는 데 걸리는 표준 시간은 1시간 27분 (87분) ~ 1시간 30분 (90분)이나 출·퇴근 시간 등에는 지연으로 인하여 다소 늦어질 수 있다. 10량 75개 편성이며 운행 시에는 앞쪽 운전실에 기관사, 뒤쪽 운전실에 차장이 근무하는 2인 승무제를 시행하며 이는 1호선, 3호선, 4호선 (코레일 포함)과 같다.

1996년 12월 31일부터 1999년 11월 22일까지 당산철교가 재시공으로 사용이 중지되었을 때 내선 순환은 당산역까지, 외선 순환은 홍대입구역이나 합정역까지만 운행된 적이 있었다.[내용주 5]

성수지선

성수 - 신설동 구간을 운행하는 지선 운행 계통이다. 2호선이 1980년 10월 31일 1단계 개통으로 신설동 - 성수 - 종합운동장 구간이 처음 개통된 이래로 1982년 12월 23일 2단계 개통으로 종합운동장 - 교대 구간이 연장 개통될 당시까지만 해도 본선 구간의 일부로 운행되었다. 그러나 1983년 9월 16일 성수 - 을지로입구 3단계 구간이 연장 개통하면서 을지로입구 - 종합운동장 구간이 본선이 되고, 신설동 - 성수 구간이 성수지선으로 분리되어 현재와 동일한 운행 계통을 구축하게 되었다. 성수역에서 시종착하는 열차들은 성수지선을 통하여 군자차량사업소로 입고하거나 기지에서 출고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운행하는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역시 서울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에서 종착 후 신설동역 구내의 1호선 및 2호선의 연결선을 이용하여 2호선 신설동역 유령 승강장 (지하 3층)을 통과한 후, 군자차량기지로 입고한다. 이 때문에 종종 성수지선 전동차가 용답역 또는 신답역에 1분 이상 정차하는 경우도 있다.[3] 성수지선은 4량 5개편성이며 신정지선과 마찬가지로 편성량이 짧아 1인 승무제를 시행하여 전동차 뒤쪽 운전실에 차장이 별도로 근무하지 않는다.

신정지선

신도림~까치산 구간을 운행한 지선 운행 계통이다. 신도림역신정차량사업소 사이의 입출고선을 연장한 방식으로 건설되었으며, 까치산역에서 5호선으로 갈아탈 수 있다. 또한, 까치산역 인근에 5호선과의 연결선이 있어서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 당시 5호선 전동차7·8호선 전동차고덕차량기지방화차량기지로 운송하는데 사용되기도 하였다. 신정네거리역에서 까치산역, 신도림역에서 도림천역구간이 단선이기 때문에 선행열차가 신정네거리역에서 까치산역으로 들어가거나, 도림천역에서 신도림역으로 간 경우, 후속열차는 선행열차가 되돌아 나올 때까지 대기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략 10분) 배차간격이 긴 편이다. 또한 도림천역양천구청역 사이에 있는 신정차량사업소와의 연결선을 통하여 열차가 입출고하기 때문에 지선 열차가 양천구청역이나 도림천역에서 대기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신정지선은 6량 4개편성이며 성수지선과 마찬가지로 편성 량수가 적어 1인 승무제를 시행하여 전동차 뒤쪽 운전실에 차장이 별도로 근무하지 않는다.

차량

군자차량사업소, 신정차량사업소에 배치되어 있으며, 입·출고 시에는 각 차량기지와 연결된 지선을 이용한다.

역사

2단계 개통 기념 승차권

역 목록

본선 (을지로순환선)


번호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한글로마자한자
201시청City Hall市廳 수도권 전철 1호선0.00.0서울특별시중구
202을지로입구(하나은행)Euljiro 1(il)-ga
(Hana Bank)
乙支路入口
(韓亞銀行)
0.70.7
203을지로3가(신한카드)Euljiro 3(sam)-ga
(Shinhan Card)
乙支路3街
(新韓카드)
수도권 전철 3호선0.81.5
204을지로4가(BC카드)Euljiro 4(sa)-ga
(BC Card)
乙支路4街(BC카드) 수도권 전철 5호선0.62.1
205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Dongdaemun History & Culture Park(DDP)東大門歷史文化公園(DDP)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1.03.1
206신당Sindang新堂 서울 지하철 6호선0.94.0
207상왕십리Sangwangsimni上往十里0.94.9성동구
208왕십리(성동구청)Wangsimni
(Seongdong-Gu Office)
往十里(城東區廳) 수도권 전철 5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경원선
0.85.7
209한양대Hanyang Univ.漢陽大1.06.7
210뚝섬Ttukseom뚝섬1.17.8
211성수Seongsu聖水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0.88.6
212건대입구Konkuk Univ.建大入口 서울 지하철 7호선1.29.8광진구
213구의(광진구청)Guui
(Gwangjin-gu Office)
九宜(廣津區廳)1.611.4
214강변(동서울터미널)Gangbyeon
(Dongseoul Bus Terminal)
江邊(東서울터미널)0.912.3
215잠실나루(수협중앙회공제보험)Jamsillaru
(Suhyup Insurance)
蠶室나루1.814.1송파구
216잠실(송파구청)Jamsil
(Songpa-gu Office)
蠶室(松坡區廳) 수도권 전철 8호선1.015.1
217잠실새내Jamsilsaenae蠶室새내1.216.3
218종합운동장Sports Complex綜合運動場 서울 지하철 9호선1.217.5
219삼성(무역센터)[18]Samseong
(World Trade Center Seoul)
三成(貿易센터)1.018.5강남구
220선릉(애큐온저축은행)Seolleung
(Acuon Savings Bank)
宣陵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1.319.8
221역삼(센터필드)Yeoksam
(Center Field)
驛三(센터필드)1.221.0
222강남Gangnam江南 신분당선0.821.8
223교대(법원·검찰청)Seoul Nat'l Univ. of Education
(Court & Public Prosecutors' Office)
敎大(法院·檢察廳) 수도권 전철 3호선1.223.0서초구
224서초Seocho瑞草0.723.7
225방배(백석예술대)Bangbae
(Baekseok Arts Univ.)
方背(白石藝術大)1.725.4
226사당Sadang舍堂 수도권 전철 4호선1.627.0관악구
227낙성대(강감찬)Nakseongdae
(Ganggamchan)
落星垈(姜邯贊)1.728.7
228서울대입구(관악구청)Seoul Nat'l Univ.
(Gwanak-gu Office)
서울大入口
(冠岳區廳)
1.029.7
229봉천Bongcheon奉天1.030.7
230신림Sillim新林 서울 경전철 신림선1.131.8
231신대방Sindaebang新大方1.833.6동작구
232구로디지털단지(원광디지털대)Guro Digital Complex
(Wonkwang Digital Univ.)
九老디지털團地
(圓光디지털大學校)
1.134.7구로구
233대림(구로구청)Daerim
(Guro-gu Office)
大林(九老區廳) 서울 지하철 7호선1.135.8
234신도림Sindorim新道林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1.837.6
235문래(김안과병원)Mullae
(Kim's Eye Hospital)
文來1.238.8영등포구
236영등포구청Yeongdeungpo-gu Office永登浦區廳 수도권 전철 5호선0.939.7
237당산Dangsan堂山 서울 지하철 9호선1.140.8
238합정(세아타워)Hapjeong
(SeAH Tower)
合井 서울 지하철 6호선2.042.8마포구
239홍대입구Hongik Univ.弘大入口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
1.143.9
240신촌(지하)Sinchon新村(地下)1.345.2
241이대Ewha Womans Univ.梨大0.846.0
242아현Ahyeon阿峴0.946.9
243충정로(경기대입구)Chungjeongno
(Kyonggi Univ.)
忠正路
(京畿大入口)
수도권 전철 5호선0.847.7서대문구
201시청City Hall市廳 수도권 전철 1호선1.148.8중구

성수지선


번호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한글로마자한자
211성수Seongsu聖水 서울 지하철 2호선 (본선)0.00.0서울특별시성동구
211-1용답Yongdap龍踏2.32.3
211-2신답Sindap新踏1.03.3
211-3용두(동대문구청)Yongdu
(Dongdaemun-gu Office)
龍頭(東大門區廳)0.94.2동대문구
211-4신설동Sinseol-dong新設洞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1.25.4

신정지선[19]


번호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한글로마자한자
234신도림Sindorim新道林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본선)
0.00.0서울특별시구로구
234-1도림천Dorimcheon道林川1.01.0
234-2양천구청Yangcheon-gu Office陽川區廳1.72.7양천구
234-3신정네거리Sinjeongnegeori新亭네거리1.94.6
234-4까치산Kkachisan까치山 수도권 전철 5호선1.46.0강서구

이용객 변동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2호선승차1,403,5671,413,0091,437,6221,424,9441,441,7741,442,9471,451,2831,469,5671,512,1671,528,825[20]
하차1,416,6581,423,7101,450,2641,443,1451,454,6501,460,8271,469,8561,485,6991,523,5181,543,184
승하차2,820,2252,836,7192,887,8862,868,0892,896,4242,903,7732,921,1412,955,2663,035,6863,072,009
노선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2호선승차1,517,3751,547,3941,546,7461,554,0701,579,4091,554,4341,541,8931,522,3931,530,9101,540,008
하차1,540,3161,567,2391,560,4701,572,5061,596,8361,571,3471,561,3081,542,5701,553,3021,562,804
승하차3,057,6913,114,6333,107,2143,126,5763,176,2453,125,7813,103,2013,064,9633,084,2123,102,812
노선2020년
2호선승차1,093,425
하차1,103,185
승하차2,196,610

역 추가 설치 계획

신정교역 신설 계획

목동신시가지 14단지 입주민들의 교통편의를 위해 도림천역양천구청역 사이에 신정교역(가칭)을 신설할 계획에 있다.

각주

내용주
참조주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