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신

(비촉생상에서 넘어옴)

6상신(六想身)은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인식대상의 물질적 · 정신적(개념적) 차별상(差別相)을 파악하게 하는 취상(取像) · 표상(表象) · 개념화(槪念化)의 마음작용(想) 또는 상온(想蘊)을 그것의 발동근거6근(六根)에 따라 6종으로 나눈 것이다.[1][2][3][4][5][6][7][8]

ṣaṭ saṃjñā-kāyāḥ의 번역
한국어육상신, 육상
영어six classes of ideation,
six classes of perception
산스크리트어ṣaṭ saṃjñā-kāyāḥ
팔리어ṣaḍ-saññā-uppādetabbā
중국어六想身(T) / 六想身(S)
六想(T) / 六想(S)

(한어 병음liùxiǎng shēn)
티베트어'du shes kyi tshogs drug po,
'du shes drug
불교 용어 목록

6상신(六想身)에서 (身)은 집합 또는 복수를 나타내는 복수형 접미사로, 6상신6상(六想)과 같은 말이다.[9][10][11][12]

경전과 논서에 따라 6상신의 각각을 지칭하는 명칭이 약간 다른데 《잡아함경》 등에서는 안촉생상(眼觸生想) · 이촉생상(耳觸生想) · 비촉생상(鼻觸生想) · 설촉생상(舌觸生想) · 신촉생상(身觸生想) · 의촉생상(意觸生想)이라고 하고 있다.[13]

중아함경》《해탈도론》등에서는 안상(眼想) · 이상(耳想) · 비상(鼻想) · 설상(舌想) · 신상(身想) · 의상(意想)이라고 하고 있다.[14][15]

품류족론》《대비바사론》《구사론》《유가사지론》《현양성교론》《잡집론》 등의 논서에서는 안촉소생상(眼觸所生想) · 이촉소생상(耳觸所生想) · 비촉소생상(鼻觸所生想) · 설촉소생상(舌觸所生想) · 신촉소생상(身觸所生想) · 의촉소생상(意觸所生想)이라고 하고 있다.[16]

한편, 《장아함경》과 《사리불아비담론》에서는 발동근거소의(所依)인 (根)에 따라 분별하여 명칭을 붙이지 않고 인식대상(境)에 따라 분별하여 명칭을 붙여, 6상신의 각각을 색상(色想) · 성상(聲想) · 향상(香想) · 미상(味想) · 촉상(觸想) · 법상(法想)이라고 이름하고 있다.[17]

6상신

안촉생상

안촉생상(眼觸生想)은 안촉소생상(眼觸所生想) · 안상(眼想) 또는 색상(色想)이라고도 한다.

번역하여 안촉으로 생기는 상[眼觸生想] · 안촉에 의해 생겨난 상[眼觸所生想] ·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생각[眼觸所生想] · 안근의 상[眼想] · 색에 대한 상[色想] · 색깔에 대한 상[色想]이라고도 한다.

안근색경안식화합안촉(眼觸)과 동시생겨나는 시각적인 (想)의 마음작용, 즉 시각취상(取像) · 표상(表象) · 개념화(槪念化)의 마음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18][19][20]

안촉소생상(眼觸所生想)은 안근[眼]과 색경[色]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안식(眼識)이 생겨날 때, 안근 · 색경 · 안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想)이다.
이 때 안근안촉소생상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색경안촉소생상소연(所緣)이 된다. 안촉안촉소생상(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안촉소생상은 안촉소생작의(眼觸所生作意) 즉 안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안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색경에 대한[於眼所識色] 모든 (想: 취상, 표상, 개념화) · 등상(等想: 그 모두에 대한 취상, 표상, 개념화) · 증상등상(增上等想: 그 모두에 대한 뛰어난 취상, 표상, 개념화) · 이상(已想: 과거의 취상, 표상, 개념화) · 상류(想類: 취상, 표상, 개념화의 등류)를 통칭하여 안촉소생상(眼觸所生想)이라 이름한다.

이촉생상

이촉생상(耳觸生想)은 이촉소생상(耳觸所生想) · 이상(耳想) 또는 성상(聲想)이라고도 한다.

번역하여 이촉으로 생기는 상[耳觸生想] · 이촉에 의해 생겨난 상[耳觸所生想] · 귀의 접촉으로 생기는 생각[耳觸所生想] · 이근의 상[耳想] 또는 소리에 대한 상[聲想]으로 번역된다.

이근성경이식화합이촉(耳觸)과 동시생겨나는 청각적인 (想)의 마음작용, 즉 청각취상(取像) · 표상(表象) · 개념화(槪念化)의 마음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18][19]

이촉소생상(耳觸所生想)은 이근[耳]과 성경[聲]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이식(耳識)이 생겨날 때, 이근 · 성경 · 이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想)이다.
이 때 이근이촉소생상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성경이촉소생상소연(所緣)이 된다. 이촉이촉소생상(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이촉소생상은 이촉소생작의(耳觸所生作意) 즉 이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이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성경에 대한[於耳所識聲] 모든 (想: 취상, 표상, 개념화) · 등상(等想: 그 모두에 대한 취상, 표상, 개념화) · 증상등상(增上等想: 그 모두에 대한 뛰어난 취상, 표상, 개념화) · 이상(已想: 과거의 취상, 표상, 개념화) · 상류(想類: 취상, 표상, 개념화의 등류)를 통칭하여 이촉소생상(耳觸所生想)이라 이름한다.

비촉생상

비촉생상(鼻觸生想)은 비촉소생상(鼻觸所生想) · 비상(鼻想) 또는 향상(香想)이라고도 한다.

번역하여 비촉으로 생기는 상[鼻觸生想] · 비촉에 의해 생겨난 상[鼻觸所生想] · 코의 접촉으로 생기는 생각[鼻觸所生想] · 비근의 상[鼻想] 또는 향기에 대한 상[香想]으로 번역된다.

비근향경비식화합비촉(鼻觸)과 동시생겨나는 후각적인 (想)의 마음작용, 즉 후각취상(取像) · 표상(表象) · 개념화(槪念化)의 마음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18][19]

비촉소생상(鼻觸所生想)은 비근[鼻]과 향경[香]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비식(鼻識)이 생겨날 때, 비근 · 향경 · 비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想)이다.
이 때 비근비촉소생상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향경비촉소생상소연(所緣)이 된다. 비촉비촉소생상(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비촉소생상은 비촉소생작의(鼻觸所生作意) 즉 비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비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향경에 대한[於鼻所識香] 모든 (想: 취상, 표상, 개념화) · 등상(等想: 그 모두에 대한 취상, 표상, 개념화) · 증상등상(增上等想: 그 모두에 대한 뛰어난 취상, 표상, 개념화) · 이상(已想: 과거의 취상, 표상, 개념화) · 상류(想類: 취상, 표상, 개념화의 등류)를 통칭하여 비촉소생상(鼻觸所生想)이라 이름한다.

설촉생상

설촉생상(舌觸生想)은 설촉소생상(舌觸所生想) · 설상(舌想) 또는 미상(味想)이라고도 한다.

번역하여 설촉으로 생기는 상[舌觸生想] · 설촉에 의해 생겨난 상[舌觸所生想] · 혀의 접촉으로 생기는 생각[舌觸所生想] · 설근의 상[舌想] 또는 맛에 대한 상[味想]으로 번역된다.

설근미경설식화합설촉(舌觸)과 동시생겨나는 미각적인 (想)의 마음작용, 즉 미각취상(取像) · 표상(表象) · 개념화(槪念化)의 마음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18][19]

설촉소생상(舌觸所生想)은 설근[舌]과 미경[味]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설식(舌識)이 생겨날 때, 설근 · 미경 · 설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想)이다.
이 때 설근설촉소생상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미경설촉소생상소연(所緣)이 된다. 설촉설촉소생상(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설촉소생상은 설촉소생작의(舌觸所生作意) 즉 설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설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미경에 대한[於舌所識味] 모든 (想: 취상, 표상, 개념화) · 등상(等想: 그 모두에 대한 취상, 표상, 개념화) · 증상등상(增上等想: 그 모두에 대한 뛰어난 취상, 표상, 개념화) · 이상(已想: 과거의 취상, 표상, 개념화) · 상류(想類: 취상, 표상, 개념화의 등류)를 통칭하여 설촉소생상(舌觸所生想)이라 이름한다.

신촉생상

신촉생상(身觸生想)은 신촉소생상(身觸所生想) · 신상(身想) 또는 촉상(觸想)이라고도 한다.

번역하여 신촉으로 생기는 상[身觸生想] · 신촉에 의해 생겨난 상[身觸所生想] · 몸의 접촉으로 생기는 생각[身觸所生想] · 신근의 상[身想] 또는 감촉에 대한 상[觸想]으로 번역된다.

신근촉경신식화합신촉(身觸)과 동시생겨나는 촉각적인 (想)의 마음작용, 즉 촉각취상(取像) · 표상(表象) · 개념화(槪念化)의 마음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신촉소생상(身觸所生想)은 신근[身]과 촉경[觸]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신식(身識)이 생겨날 때, 신근 · 촉경 · 신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想)이다.
이 때 신근신촉소생상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촉경신촉소생상소연(所緣)이 된다. 신촉신촉소생상(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신촉소생상은 신촉소생작의(身觸所生作意) 즉 신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신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촉경에 대한[於身所識觸] 모든 (想: 취상, 표상, 개념화) · 등상(等想: 그 모두에 대한 취상, 표상, 개념화) · 증상등상(增上等想: 그 모두에 대한 뛰어난 취상, 표상, 개념화) · 이상(已想: 과거의 취상, 표상, 개념화) · 상류(想類: 취상, 표상, 개념화의 등류)를 통칭하여 신촉소생상(身觸所生想)이라 이름한다.

의촉생상

의촉생상(意觸生想)은 의촉소생상(意觸所生想) · 의상(意想) 또는 법상(法想)이라고도 한다.

번역하여 의촉으로 생기는 상[意觸生想] · 의촉에 의해 생겨난 상[意觸所生想] · 뜻의 접촉으로 생기는 생각[意觸所生想] · 의근의 상[意想] 또는 법에 대한 상[法想]으로 번역된다.

의근법경의식화합의촉(意觸)과 동시생겨나는 정신적인 (想)의 마음작용, 즉 정신취상(取像) · 표상(表象) · 개념화(槪念化)의 마음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18][19]

의촉소생상(意觸所生想)은 의근[意]과 법경[法]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의식(意識)이 생겨날 때, 의근 · 법경 · 의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想)이다.
이 때 의근의촉소생상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법경의촉소생상소연(所緣)이 된다. 의촉의촉소생상(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의촉소생상은 의촉소생작의(意觸所生作意) 즉 의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의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법경에 대한[於意所識法] 모든 (想: 취상, 표상, 개념화) · 등상(等想: 그 모두에 대한 취상, 표상, 개념화) · 증상등상(增上等想: 그 모두에 대한 뛰어난 취상, 표상, 개념화) · 이상(已想: 과거의 취상, 표상, 개념화) · 상류(想類: 취상, 표상, 개념화의 등류)를 통칭하여 의촉소생상(意觸所生想)이라 이름한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K.650, T.99). 《잡아함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50(18-707), T.99(2-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2(16-157), T.1605(31-663).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49,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49(25-149), T.1542(26-692).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T.99). 《잡아함경(雜阿含經)》. 대정신수대장경. T2, No. 9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毘達磨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우 조, 현장 한역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대정신수대장경. T26, No. 154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