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절

한자 발음 표기 방법


한자
발달과정
갑골문자
금문
전서 (대전, 소전)
번체
간체
서체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글꼴
송조체 · 명조체 · 청조체 · 고딕체 · 굴림체 · 교과서체
분류법
필획 · 필순 · 육서 · 부수
한자의 표준화
표준
상용한자 강희자전
문자 개혁
본자 정체자
간체자
약자 신자체
한자의 주음및 표음화
반절 · 주음부호 · 창힐수입법 · 한어병음
나라별 사용
중국 대륙·대만
홍콩·마카오
한국(한국 한자음)
일본(일본 한자음 · 류큐 한자음)
베트남(한월어 · 고한월어)
파생문자1
한국제 한자(이두, 향찰, 구결) · 일본 국자 · 쯔놈 · 방언자·측천 문자·방괴장자· 방괴동자
파생문자2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여서문자 · 서하 문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v  d  e  h

반절(反切)은 한자사전에서 한자의 음(音)을 표기하는 방법의 하나로, 두 글자를 가져오고 그 글자의 음을 조합해서 원래 글자의 음을 표기하는 방식이다. 반절이라는 이름은 반(反)과 절(切)을 합친 것으로, 수나라 시대 이전에는 '반' 혹은 '번'(翻)이라고 부르다가 당 대종 때 반역을 두려워한 황제가 '反'이라는 글자를 피휘(避諱)로 지정함으로 인해서 당대 이후에는 '절'이라고 부르게 된 것에서 유래했다.

설문 竹부. 설명 아래에 작은 글씨로 쓰여 있는 것이 반절이다.

역사

한자는 기본적으로 표음문자가 아니기 때문에, 처음 보거나 처음 배우는 한자의 음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주음부호한어병음과 같은 한자음 표기수단이 고안되기 전에는, 어떤 한자의 음을 나타내기 위해서 필연적으로 다른 한자를 가져다와 쓸 수 밖에 없었다.

이아》 같은 고대 사전에서는 어떤 한자의 음을 표기하기 위해서 그 한자와 음이 같은 다른 한자를 예로 들었다. 이 경우 보통 문장 형식이 'A,讀若B'(A는 B와 같이 읽는다), 혹은 'A,音B'(A는 음이 B다)였는데, 전자를 '독약법'(讀若法)[1]이라고 하고 후자를 '직음법'(直音法)이라고 했다. 일반적으로 반절이라는 방식의 도입은 후한 시대 때 불교의 전래와 함께 인도의 음운학적 지식이 중국으로 들어온 것과 연관이 있다고 여겨진다. [1]삼국 시대 위나라의 손염(孫炎)이 《이아음의》(爾雅音義)를 쓰고 이 책에 처음으로 반절을 학술적인 표음 방법으로 채택했다고 하며, 위진 시대에 들어서 반절이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1][2][3]

반절이 사용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자료는 6세기의 《옥편》과 《경전석문》(經典釋文)이다.[4][5] 그 이후로도 601년에 만들어진 운서(韻書)인 《절운》(切韻)이나, 1716년에 완성된 《강희자전》에서도, 한자음을 표기하기 위해 반절이 이용되었다. 이렇듯 한어병음주음부호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반절이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현대에 들어서 반절은 중고음(中古音) 및 중국음운학을 연구하는 데 기초자료가 되고 있다.

사용 방법

반절의 기본 구조는 A,BC反 혹은 A,BC切이다. 음을 표기하려는 원래 글자(A)를 반절귀자(反切歸字), 음을 표기하기 위해 가져온 두 글자(B와 C)를 각각 반절상자(反切上字)와 반절하자(反切下字)라고 하는데, 반절상자는 성모를 표시하고 반절하자는 운모성조를 표시한다. 즉, B에서 음절의 초성 부분만 취하고, C에서 음절의 중성과 종성 및 성조를 취한 다음, 이 둘을 조합해서 A의 음을 표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광운에 '東'(동)이라는 글자의 발음을 설명하기 위해 「東,……德紅切」이라고 쓰여 있는데, 이는 '德'(덕, [tək] 입성)의 성모인 [t], '紅'(홍, ] 평성)의 운모 [uŋ]과 성조 평성을 합해서, '東'(동, [tuŋ] 평성)의 발음을 나타낸 것이다.

  • 「東,德紅切」: 東([tuŋ] 평성) = 德([tək] 입성) + 紅(] 평성)
  • 「根,古痕切」: 根([kən] 평성) = 古([kuo] 상성) + 痕(ən] 평성)
  • 「可,枯我切」: 可([kʰɑ] 상성) = 枯([uo] 평성) + 我(ɑ] 상성)
  • 「崩,北滕切」: 崩([pəŋ] 평성) = 北([pək] 입성) + 滕([dəŋ] 평성)
  • 「豆,田候切」: 豆([dəu] 거성) = 田([den] 평성) + 候(əu] 거성)

한자음 변화의 영향

반절은 중고 시대의 한자음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복잡한 법칙을 따라 한자음이 서서히 변한 현대에 이르러서는 반절귀자와 반절상자·반절하자의 관계가 불투명해졌다. 중고 시대에는 현재 보통화의 성조체계와는 다른 사성체계로 이루어져 있었고, 전탁음(全濁音), 즉 유성 장애음 성모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다 사성체계가 성모의 청탁(무성·유성의 차이)에 영향을 받아 음조(陰調)와 양조(陽調)로 나누어져 팔성체계가 되었고, 그 후에 우어를 제외한 모든 중국어 방언에서 전탁음이 청음화(淸音化, 무성음화)되었는데, 이 때 성조의 영향을 받아 전청이 되거나 차청이 되었다. 이렇게 청탁과 성조가 서로에게 영향을 끼치면서 변화를 거친 결과, 현대 중국어에서 반절은 더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되었다.[6]

예를 들어, 위의 예인 「東,德紅切」에서 東, 德, 紅의 보통화 발음은 각각 [tʊŋ⁵⁵](dōng), [tɤ³⁵](dé), [xʊŋ³⁵](hóng)으로, 東과 紅의 성조가 일치하지 않는다. 이는 東의 성모인 단모(端母, [t])는 무성음이고 紅의 성모인 갑모(匣母, [ɣ])는 유성음이라서, 원래 평성이었던 東과 紅의 성조가 각각 양평성과 음평성으로 나뉘었기 때문이다. 또한 「豆,田侯切」에서 豆, 田, 候의 보통화 발음은 각각 [tɤʊ̯⁵¹](dòu), [tʰjɛn³⁵](tián), [xɤʊ̯⁵¹](hòu)로, 豆과 田의 성모가 일치하지 않는다. 이는 豆과 田의 성모는 원래 정모(定母, [d])였는데, 유성음인 정모가 무성음화될 때 豆의 성조는 거성이어서 단모(端母, [t])로 흡수되고, 田의 성조는 평성이어서 투모(透母, [tʰ])로 흡수되었기 때문이다.

반절상·하자

《광운》에서 쓰인 반절상자와 반절하자는 다음과 같다[7].

반절상자

분류성모반절상자
순음方 必 北 伯 博 筆 愽 卑 補 分 百 巴 鄙 府 畀 彼 封 甫 兵 布 并 邊 陂 脯
匹 譬 丕 披 峯 拂 普 撫 孚 妃 滂 芳 敷
附 浮 便 毗 婢 符 平 傍 父 扶 薄 皮 馮 房 捕 步 部 防 白 縛 裴 弼 蒲
母 摸 無 武 美 明 莫 綿 模 彌 巫 慕 靡 文 亡 謨 眉 矛 望
설음설두음都 冬 當 多 得 德 丁
託 湯 土 台 吐 天 通 他
墜 堂 徒 唐 田 杜 同 陀 度 特
乃 那 内 奴 諾
설상음徵 知 張 陟 都 猪 追 中 豬 竹 丁 卓
抽 褚 敕 楮 丑 他 癡 恥
除 直 持 丈 宅 治 池 徒 佇 柱 遟 馳 瑒
穠 拏 妳 女 尼
치음치두음作 祖 則 子 臧 醉 兹 資 將 借 姊 𩛠 即 遵
麤 遷 醋 七 取 采 青 雌 此 倉 親 蒼 麁 千
疾 秦 才 昨 前 匠 在 漸 藏 徂 慈 自 情
私 桑 相 斯 寫 思 須 蘇 悉 素 息 雖 辛 胥 速 先 司
隨 辝 辭 寺 似 夕 祥 詳 徐 旬
정치음鄒 仄 爭 簪 子 莊 側 阻
初 芻 廁 測 創 叉 楚 瘡
士 仕 鶵 豺 崱 鉏 鋤 牀 雛 助 査 崇
史 沙 色 數 所 砂 疏 生 踈 山
俟 牀
止 煑 珍 旨 脂 章 職 占 支 征 側 之 諸 正
處 姝 叱 尺 赤 昌 充
甞 視 是 成 常 植 氏 殖 十 殊 署 承 市 時 臣 寔 蜀
失 始 舒 釋 式 賞 傷 書 試 商 矢 施 識 詩
實 神 乗 食
아음姑 吉 几 詭 各 格 公 兼 居 佳 紀 過 九 古 俱 谷 規 乖 舉
豈 客 欽 枯 牽 丘 詰 楷 綺 去 區 乞 弃 曲 苦 康 可 空 羌 窺 傾 驅 卿 墟 謙 口 恪 袪 起
其 狂 跪 衢 求 奇 具 臼 巨 強 渠 曁
五 吾 魚 宜 俄 牛 危 疑 玉 虞 研 愚 擬 語
후음荒 火 虚 胡 海 花 虎 許 呵 香 羲 朽 況 馨 興 况 呼 休 黑 喜
獲 何 胡 黃 懷 乎 戸 下 侯
伊 依 憶 愛 握 謁 乙 紆 央 哀 鷖 衣 一 安 烟 烏 挹 憂 於
永 薳 爲 有 雨 王 于 羽 榮 雲 下 筠 云 韋 洧 委
與 羊 以 移 余 于 夷 餘 翼 悅 營 弋
반설음勒 力 賴 里 盧 連 縷 良 洛 郎 離 魯 林 來 呂 落 練
반치음人 而 儒 兒 如 耳 仍 汝

반절하자

운모 중 A와 B로 나뉘어 있는 것은 일부 학자[8]의 학설에 의한 것이다.아래 표에서 반절하자는 사성에 따라 나뉘어 있으며, 각 성조에 대한 반절하자는 《광운》에서의 대표자(왼쪽)와 반절하자(오른쪽)의 두 칸으로 나뉘어 있으나, 대표자가 반드시 반절하자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다.

운목운모반절하자
평성상성거성입성
1東1東1凍 紅 公 東 空董1董 蠓 動 孔 揔送1送 凍 弄 貢屋1卜 木 禄 谷
3東3東3中 融 弓 終 宮 戎  送3鳳 衆 仲屋3逐 六 菊 竹 宿 福 匊
1宗 冬湩 𪁪宋 統 綜沃 篤 酷 毒
3凶 庸 封 容 鍾 恭宂 勇 踵 隴 冢 拱 奉 悚用 頌足 蜀 録 欲 玉 曲
2江 雙講 項 慃絳 降 巷角 覺 岳
支A3支A개支A개移 支紙A개此 紙 是 婢 氏 帋 爾寘A개智 賜 豉 義 企  
支A합支A합爲 吹 隨 垂 隋 規紙A합婢 捶 累 髓 委寘A합睡 瑞 恚 僞 避  
支B3支B개支B개知 移 爲 宜 羈 奇 離紙B개豸 氏 綺 弭 侈 彼 靡 倚 爾 委寘B개義 寄  
支B합支B합爲 危 支 垂紙B합詭 毁 弭 委寘B합睡 恚 僞  
脂A3脂A개脂A개私 脂 肌 夷 資 之旨A개履 几 矢至A개寐 二 至 四 自 利  
脂A합脂A합綏 隹 追 維 遺旨A합水 癸 誄 軌 壘 累至A합醉 遂 悸 類 季  
脂B3脂B개脂B개眉 悲 夷 飢 尼旨B개視 美 雉 履 几 鄙 姊至B개冀 器 兾 備 媚 祕 利  
脂B합脂B합隹 悲 追旨B합美 軌 洧至B합萃 愧 位 類  
3甾 其 而 持 兹 之 擬 己止 士 史 里 紀 市吏 置 志 記  
3微개微개希 依 衣尾개豈 狶未개旣 豙  
微합微합非 微 韋 歸尾합鬼 匪 偉 尾未합未 沸 貴 胃 味 畏  
3余 居 魚 諸與 渚 巨 与 吕 許 舉預 洳 慮 署 去 據 倨 御 助 恕  
3無 隅 夫 芻 俞 輸 于 誅 逾 俱 朱武 矩 雨 庾 禹 羽 甫 主注 戍 遇 句 具  
1姑 吳 吾 胡 乎 都 孤 烏補 杜 古 魯 戸故 路 暮 誤 祚  
4齊개齊개臡 稽 低 兮 迷 奚 雞薺개米 弟 啓 禮霽개戾 計 詣  
齊합齊합圭 攜  霽합惠 桂  
祭A3祭A개    祭A개祭 制 袂 蔽 例 獘  
祭A합    祭A합歲 銳 芮  
祭B3祭B개    祭B개憩 罽 例  
祭B합    祭B합歲 衛 稅 芮  
1泰개    泰개大 蓋 太 貝 帶 艾  
泰합    泰합外 會 最  
2佳개佳개佳 膎蟹개蟹 買卦개賣 隘 懈 卦  
佳합佳합媧 緺 娃蟹합買 夥 𠁥卦합賣 卦  
2皆개皆개諧 皆駭개駭 楷怪개戒 拜 介 怪 界  
皆합皆합淮 懷 乖 皆  怪합壞 怪  
2夬개    夬개犗 夬 話 邁 喝  
夬합    夬합夬 快  
1灰 杯 恢 回罪 賄 猥妹 隊 對 輩 佩 昧 繢 内  
1才 哀 開 來 哉改 亥 乃 在 紿 宰 愷耐 愛 代 槩 漑  
3廢개    廢개  
廢합    廢합穢 廢 吠 肺  
眞A3眞A眞A珍 賓 鄰 人 眞軫A引 忍 腎 軫 盡震A印 晉 振 遴 刃質A必 吉 畢 日 七 質 悉 栗
眞B3眞B개眞B개珍 巾 鄰 人 銀軫B개引 忍 紖 殞震B개覲 遴 刃質B개密 筆 畢 乙 質 悉 一
眞B합眞B합倫 筠 贇軫B합敏 殞  質B합
3倫 綸 勻 迍 脣 旬 遵允 尹 準順 閏 峻聿 律 卹
3臻 詵    瑟 櫛 叱
3分 文 云粉 吻運 問弗 勿 物
3斤 欣謹 隱焮 靳
3元개元개言 軒阮개偃 幰願개建 万月개訐 歇 謁
元합元합袁 煩 元阮합遠 晚 阮願합販 願 万 怨月합越 發 月 厥 伐
1魂 尊 渾 昆 奔衮 本 忖 損悶 困 寸忽 没 勃 骨
1痕 根 恩墾 很恨 艮  
1寒 干 安旱 笴 但案 賛 旰 按 旦割 葛 達 曷
1丸 潘 端 官緩 滿 旱 伴 管 纂筭 段 換 貫 半 玩 喚 慢 亂括 割 撥 栝 活 末
2刪개刪개班 姦 顔 還潸개板 綰 赧諫개晏 鴈 澗 諫 患黠개八 拔 黠
刪합刪합頑 還 關潸합鯇 板諫합慣 患黠합八 滑
2山개山개閑 山 閒產개簡 限襇개莧 幻 襇鎋개轄 鎋 瞎
山합山합頑 鰥產합辨 綰襇합鎋합䫄 刮
4先개先개年 前 煙 田 先 玄 賢 顚 堅銑개殄 峴 泫 典 繭霰개見 麵 佃 電 甸 練屑개蔑 屑 結
先합先합玄 涓銑합畎 泫霰합縣 練屑합穴 決
仙A3仙A개仙A개然 仙 連 延獮A개兖 演 翦 淺 善 展 緬線A개箭 扇 戰 線 賤 面 膳 彦薛A개辥 熱 列 滅
仙A합仙A합專 泉 緣 員 川 宣獮A합兖 轉線A합卷 釧 眷 絹 掾 囀 戀薛A합輟 雪 絕 爇 劣 悅
仙B3仙B개仙B개乾 焉 連 延獮B개演 免 善 辨 展 蹇 輦線B개箭 變 扇 碾 眷薛B개列 竭 别
仙B합仙B합緣 攣 圓 權 員 全獮B합兖 篆 轉 免線B합倦 卷 眷 戀薛B합劣 悅
4幺 堯 蕭 聊 彫皎 鳥 了 皛弔 叫 嘯  
宵A3宵A宵A焦 邀 霄 消 招 昭 遙小A小 少 沼笑A要 兆 肖 召 笑 照 妙  
宵B3宵B宵B嬌 宵 瀌 遙 嚻 喬小B兆 小 矯 夭 表笑B召 照 廟  
2交 茅 嘲 肴絞 飽 爪 巧孝 稍 皃 敎  
1袍 毛 曹 遭 刀 襃 勞浩 老 早 抱 道 晧報 耗 倒 導 到  
1河 何 歌 俄可 我箇 个 賀 邏 佐  
1戈1합戈1합婆 禾 戈 和 波果1합可 火 果貨 卧 過 唾 臥  
3戈3개戈3개伽 迦      
戈3합戈3합𩨷 靴 𩨭 伽 𦚢      
2麻2개麻2개加 巴 霞 牙馬2개賈 雅 疋 下禡2개訝 嫁 亞 駕  
麻2합麻2합花 華 瓜馬2합寡 瓦禡2합罵 化 霸 㕦  
3麻2합麻3개車 嗟 遮 奢 邪 賒馬3개冶 也 姐 者 野禡3개謝 夜  
3陽개陽개羊 章 陽 莊 良養개㢡 掌 丈 兩漾개向 亮 樣 讓藥개雀 灼 略 約 虐 若 爵 勺 藥
陽합陽합方 王 良養합昉 兩 養 网 往漾합訪 況 亮 放 妄藥합籰 钁 縛
1唐개唐개旁 當 光 岡 郎蕩개黨 朗宕개浪 宕 曠鐸개各 落
唐합唐합黃 光蕩합晃 廣宕합謗 浪 曠鐸합穫 各 博 郭
2庚2개庚2개庚 行 盲梗2개幸 杏 梗 冷 打 猛映2개更 孟 敬陌2개格 伯 陌 白
庚2합庚2합橫 盲梗2합礦 䁝 猛映2합陌2합伯 白 擭
3庚3개庚3개庚 明 京 驚 卿 兵梗3개永 影 丙 景映3개病 慶 敬 命陌3개劇 逆 戟 郤
庚3합庚3합榮 兵梗3합永 憬映3합陌3합
2耕개耕개莖 萌 耕耿개幸 耿諍개爭 諍 迸麥개摘 革 厄 麥 核 獲 責 戹
耕합耕합宏 萌  諍합麥합麥 摑 獲
3清개清개貞 成 盈 征 情 并靜개靜 井 整 郢勁개令 姓 正 盛 政 鄭昔개昔 辟 積 隻 易 石 炙 益 迹 亦
清합清합傾 營靜합頃 潁勁합昔합隻 役
4青개青개經 靈 刑 丁迥개鼎 迥 涬 醒 頂 挺 剄徑개定 徑 佞錫개歷 擊 狄 激
青합青합螢 扃迥합迥 頂  錫합闃 鶪 狊
3蒸개蒸개蒸 冰 升 陵 兢 乗 仍 矜 膺拯개拯 庱證개證 應 甑 孕 𩜁職개直 逼 力 職 側 極 翼 即
蒸합      職합
1登개登개崩 滕 恒 楞 增 登 朋等개肯 等嶝개鄧 贈 隥 亘德개則 得 勒 黑 墨 德 北
登합登합肱 弘    德합或 國
3周 浮 州 秋 鳩 尤 謀 由 流 求久 婦 柳 酉 否 九 有佑 富 僦 副 呪 溜 救 又 祐  
1侯 婁 鉤后 垢 苟 厚 斗 口漏 遘 豆 候 奏  
3烋 彪 虯 幽糾 黝謬 幼  
侵A3侵A侵A針 心 深 尋 林 淫寑A枕 甚 朕 稔 荏沁A禁 任 鴆緝A執 入 立 汁
侵B3侵B侵B今 金 針 吟 簪 心 深 林寑B㾕 甚 錦 朕 凜 飲 稔沁B禁 譖 蔭 鴆緝B戢 入 及 立 汲 急
1南 含 男禫 唵 感暗 紺沓 閤 荅 合
1談 甘 三 酣覽 敢瞰 蹔 𣊟 暫 濫盍 榼 雜 臘
鹽A3鹽A鹽A鹽 廉 占琰A染 漸 冉 琰豔A驗 豔 贍葉A涉 接 葉 攝
鹽B3鹽B鹽B淹 廉 炎琰A檢 險 儉 琰 斂 奄豔A驗 窆 豔葉B葉 輒
4兼 甜玷 忝 簟店 念頰 愜 牒 協
2讒 咸豏 斬 減賺 陷 韽洽 夾 㘝
2銜 監黤 檻鑑 懺甲 狎
3嚴 𩏩广 掩劔 欠 釅劫 業 怯
3凡 咸錽 犯 范泛 劔 梵乏 法

의의와 한계

반절은 음절을 반으로 나눠 인식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과학적이고 진보된 표음 방식이다. 또한 반절에 쓰이는 반절상하자에는 잘 쓰이지 않는 글자를 피했기 때문에, 반절상하자의 음들을 알고 있으면 원래 알고자 하는 어려운 한자의 음을 금방 알 수 있었다. 이런 면에서 반절은 이전에 쓰이던 독약법, 직음법 등의 방법과 비교해서 훨씬 더 진화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한어병음이나 주음부호와 비교할 때, 반절로 표기할 때 쓰이는 상하자가 너무 많다는 점(반절상자 약 400개, 반절하자 약 1000개, 조합 약 5000개)과, 글자의 그대로 읽지 않고 일부분만 따온 다음 조합해서 읽어야 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쉬운 글자의 음을 표기할 때 오히려 더 복잡한 글자들의 합으로 표현해야 한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예를 들어 一(일)은 於(어)와 悉(실)의 합으로, 八(팔)은 博(박)과 撥(발)의 합으로 표현되어 있다.

각주

인용 자료

  • Baxter, William H. (1992), 《A Handbook of Old Chinese Phonology》, Berlin: Mouton de Gruyter, ISBN 978-3-11-012324-1. 
  • Casacchia, G. (2006), 〈Chinese Linguistic Tradition〉, Brown, Keith,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2 2판, London: Elsevier, 358–362쪽, ISBN 978-0-08-035943-4. 
  • Chu, Chia-Ning 竺家寧 (1990), 《聲韻學》 [Phonology], Taipei: 五南圖書.  (This book pointed out that use of fanqie appeared as early as Eastern Han.)
  • Norman, Jerry (1988), 《Chines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9653-3. 
  • Pulleyblank, Edwin G. (1984), 《Middle Chinese: a study in historical phonology》, Vancouve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ISBN 978-0-7748-01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