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아보기

몰아보기(영어: Binge-watching 빈지워칭[*])는 오랜 시간에 걸쳐 오락이나 정보 콘텐츠, 보통 단일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행위이다. 체력을 더 강조하고 행동의 자유는 적은 마라톤 시청과 일맥상통한다. 넷플릭스가 2014년 2월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73%의 참여자가 몰아보기를 "앉은 자리에서 한 번에 같은 TV 프로그램의 2~6개 에피소드를 보는 것"으로 정의하였다.[1] 일부 연구자는 몰아보기가 TV 프로그램의 맥락과 실제 내용에 따라 정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2] 다른 연구자는 일반적으로 몰아보기(binge-watching)라고 하는 것이 실제로는 한 가지 유형 이상의 TV 시청 행위(및 경험)를 의미한다고 제의하였다. 이들은 몰아보기의 개념을 장시간 앉아 있는 것(한 번에 3개 이상의 에피소드를 연속으로 보는 것)과 한 번에 한 에피소드씩 며칠에 걸쳐 프로그램의 한 시즌 전체(또는 여러 시즌)를 속도를 내서 보는 것을 모두 포함하여 의미를 확장하여야 한다고 제언하였다.[3]

맨해튼 아파트 텔레비전에 로드된 넷플릭스

2006년~2007년 기간 동안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훌루 등 시청자가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영화를 주문형으로 시청할 수 있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몰아보기가 문화적 현상으로 관찰되고 인기를 얻게 되었다.[4][5] 예를 들어, 넷플릭스 설문조사 참가자의 61%는 정기적으로 몰아보기를 한다고 답하였다.[1] 미국의 주요 비디오 스트리밍 제공업체의 주문형 비디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의 64% 이상이 1년에 한 번 꼴로 몰아보기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역사

일본의 만화 잡지 《주간 소년 점프》는 만화의 개별 편을 발행한 후 한 번에 몰아볼 수 있도록 별도의 독립형 단행본으로 엮는 방식을 개발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이 점프 방식으로 《드래곤볼》(1984년), 《원피스》(1997년), 《나루토》(1999년)와 같은 일본의 주요 대중 문화 히트작이 탄생하였다. 더 뉴요커의 맷 알트에 따르면 "점프는 오늘날 세계가 스트리밍 엔터테인먼트를 소비하는 방식을 예고하였다."[6]

몰아보기 행위를 이전에는 마라톤워칭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행위의 초창기 예시로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애니메이션 팬덤 커뮤니티에서 행해지던 VHS 테이프로 수입된 일본 애니메이션의 마라톤 시청 세션,[7][8] 1985년 7월 도나 리드와 루트 66의 여러 에피소드를 방영한 니켈로디언의 닉 앳 나이트 등이 있다.[9]

몰아보기의 영미권 표현인 "빈지워칭"(Binge-watching)은 주문형 시청 및 온라인 스트리밍의 출현으로 대중화되었다. 2013년, 매주 에피소드를 공개하는 업계 표준 모델과 달리 넷플릭스가 오리지널 프로그램의 한 시즌 전체를 일제히 공개하는 관행을 설명하기 위해 이 단어가 널리 쓰이게 되었다.[10]

2015년 11월, 《콜린스 영어 사전》이 "빈지워치"(binge-watch)를 올해의 단어로 선정하였다.[11]

대한민국에서는 몰아보기 행위를 순방향대로 운전한다는 뜻을 가진 정주행이라고도 표현한다.[12][13]

문화적 영향

배우 케빈 스페이시는 2013년 맥 태거트 강연을 통해 텔레비전 경영진에게 다음과 같이 청하였다. "시청자가 원할 때 그들이 원하는 것을 제공해야 한다. 몰아보고 싶어 한다면 몰아보도록 두어야 한다." 그는 여전히 수백만 명이 불법으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있지만, 고품질의 이야기가 몇 시간동안 계속해서 시청자의 관심을 유지할 것이며 불법 복제 행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하였다.[14]더 와이어》와 《브레이킹 배드》와 같은 "복잡하고 질 좋은 TV"를 몰아보기 하는 것은 한 번에 한 장 이상의 소설을 읽는 것과 같으며, 어떤 이들에게는 TV를 시청하는 "현명하고 사색적인 방법"으로 여겨진다.[15] 최근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몰아보기를 하는 동안 프로그램의 세계 속으로 "이동한" 느낌이 들며, 이로 인해 시청의 즐거움이 배가하고 몰아보기를 더 자주 그리고 더 오래하게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6]

ITV 텔레비전 책임자 피터 핀첨은 앞으로의 에피소드를 예상하고 친구들과 토론할 기회가 줄어들기 때문에 몰아보기가 텔레비전의 "사회적 가치"를 약화시킨다고 경고하였다.[17]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에 따르면 과한 몰아보기가 반드시 사회적 참여를 줄이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한 연구에서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는데, 몰아보기를 많이 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매일 친구, 가족과의 상호 작용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도하게 몰아보기를 하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어떤 프로그램을 볼 것인지에 대한 의견의 원천으로 이용되며 종종 오프라인과 온라인 모두에서 TV 프로그램에 대한 대화에 참여한다.[18]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에서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텔레비전 몰아보기는 우울증과 외로움, 자기조절 결핍, 비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들은 "일부 사람들은 몰아보기가 무해한 중독이라고 주장하지만, 우리의 연구 결과는 몰아보기가 더 이상 이런 식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암시한다."라고 결론짓는다.[19] 청주대학교 이성준 박사의 연구에서는 개인 성격 특성으로서의 정서불안정성이 몰아보기 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0] 정서불안정성은 우울증과도 연관되며, 현실 회피를 위해 미디어를 이용하는 미디어 중독 현상과도 이어져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있다.[21][22] 몰아보기가 단순 미디어 이용 행위를 넘어서는 중독과 같은 병리학적 결과물일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으며,[20] "몰아보기 중독"으로 치료를 받는 사례는 이미 보고된 바 있다.[23]

매체학자 앤 스위트 박사가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몰아보기는 폭식이나 폭음과 유사한 강박적 소비의 한 형태이며, 심지어는 중독적 측면으로 인해 TV 중독의 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24] 이러한 발견은 피츠먼과 스타이너(2019년)가 문제화하였는데, 이들은 "개인이 프로그램에 주의집중하는 정도는 몰아보기에 대한 동기에 따라 뒤따르는 후회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25]

로언 대학교의 매체학자 에밀 스타이너 박사가 수행한 연구에서는 몰아보기의 동기를 다섯 가지(따라잡기, 휴식, 완성감, 문화적 포함, 시청 경험 향상)로 나누었다. 저자는 강박 상태가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의 몰아보기 시청자는 발생 초기 기술-문화적 행동과 양가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결론지었다.[26] 더 나아가, 그는 몰아보기에서의 통제에 대한 협상이 텔레비전 문화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변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한다.[27]

2016년 테크니컬러 연구소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몰아보기 세션은 가까운 장래에 또 다른 몰아보기 세션의 가능성을 높인다. 한편으로, 대다수의 사람들은 즉시 또 다른 몰아보기를 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는 몰아보기가 실제 주문형 비디오 소비자들에게 일관된 행동이 아님을 나타낸다.[2]

오늘날에는 공개된 지 24시간 이내에 프로그램의 한 시즌 전체를 보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2018년 성인 TV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29%가 그렇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18~29세 사이에서는 그 숫자가 51%로 증가한다.[28]

주의집중과 기분

테네시 대학교의 매슈 피트먼 박사와 로언 대학교의 에밀 스타이너 박사가 공동으로 수행한 2019년 연구에서는 주의집중이 시청자 경험과 몰아보기 후 후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번 조사(N = 800)에서는 개인이 프로그램에 주의집중하는 정도가 몰아보기 동기에 따라 뒤따르는 후회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25] 그러나 단순히 더 많은 주의집중을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보는 것만으로는 몰아보기 후 후회를 완화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이들의 후속 연구(피츠먼과 스타이너, 2021년)에서는 몰아보기를 미리 계획한 시청자가 시청 동기와 일치하는 프로그램(편안한 코미디, 마음을 사로잡는 드라마,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좋아하는 것)을 선택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29] 이러한 계획은 "시청자의 참여를 향상시켜 정서적 결과를 개선시켰다."[30]

텔레비전 업계에서는 2020년대 초에 새로운 시리즈를 몰아보기로 시청하면 전통적인 일정에 따라 출시되는 프로그램에 비해 장기적으로 기억에 남지 않을 수 있다는 추측이 나왔다. 스트리밍 제공 업체 중 한 번에 에피소드를 공개하는 데 가장 공격적인 넷플릭스 모델과 달리, 디즈니+는 오리지널 시리즈 중 일부를 주간 일정으로 공개하는 데 성공하였다. 쇼러너들은 자신들의 프로그램이 전체 출시되지 않기 위한 창의적 결정으로 점점 더 많은 요구를 하고 있다.[31]

수면에 미치는 영향

2017년 한 연구에 따르면 몰아보기가 수면의 질 저하와 불면증, 피로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2][33] 실제로 몰아보기를 하면 인지 각성이 증가하여 수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2] 연구 결과 몰아보기를 즐기는 사람들의 98%는 수면의 질이 낮고 잠자기 전에 더 기민하며 더 많이 피로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또한 수면과 텔레비전 시청 사이의 부정적인 연관성에 관한 수면 연구 결과가 일관되지 않았으며, 이는 몰아보기와 구별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32]

광고 효과

2016년 연구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몰아보기하는 경향이 있는 시청자는 그렇지 않은 시청자보다 광고에 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 시간이 길어질수록 광고 효과는 떨어진다.[34] 연구진은 이 현상을 광고로 인한 내용 끊기 때문으로 보았다. 몰아보기를 즐기는 사람들은 자신이 보고 있는 내용에 계속 몰입하고 싶어한다. 그들은 현실 세계로 강제로 돌아오고 싶어하지 않는다.[35]

2019년에 훌루는 몰아보기 시청자를 위한 새로운 광고 형식을 도입하였다. 한 브랜드는 몰아보기 세션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에피소드 동안 몰아보기에 대한 농담과 언급이 포함된 광고를 내보낸다. 세 번째 에피소드가 시작되기 전에 브랜드는 특별 프로모션을 담은 광고를 내보내거나 광고로 내용 끊기 없이 다음 에피소드를 볼 수 있다고 밝여 몰아보기 시청자에게 보상한다.[36]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