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리표

(♮♯에서 넘어옴)

제자리표(♮)는 변화표 중 하나로 기본 음(원음)을 연주하라는 뜻이다. '내추럴'(natural)이라고도 불린다.

제자리표
유니코드에서U+266E
(HTML : &#9838)

제자리표 표시는 소문자 비(b)를 각지게 쓴 것에서 유래되었다. 고대에 내림표로 변화되지 않은 제자리 음의 B음을 나타내기 위해 그렇게 표시한 것이고, 세월이 흘러 다른 음에 붙어도 그 음을 제자리 음(원음)으로 연주하는 기호가 되었다. 의외로 올림표보다 먼저 나온 기호이기도 하다.

예시

조표 자리의 기호나 임시표로 쓰일 수 있다. 아래는 A 음표에 임시표로 제자리표가 적용되어 있는 예시다.

제자리표가 붙은 음은 그 전에 붙었던 다른 변화표가 취소되고, 기본 음(원음)으로 되돌아가는 효력을 받는다. 특히, 내림표(♭)나 올림표(♯)에 의해 반음만큼 변화된 음을 제자리로 돌릴 때 종종 발견된다.

제자리표의 음은 일반적인 변화되지 않은 기존의 "A, B, C, D, E, F, G" 음, 바로 기본 음(원음)이다.[1]

표기

제자리표가 조표 자리에 쓰일 때는 기본적으로 조표 자리의 해당 기호(예: 내림표, 올림표)를 각각 제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전조조표가 바뀔 때 제거되는 기호가 있다면 보통은 고전 관습과 같은 원칙적으로 표기해왔다. 원칙대로라면 그 자리에 해당 내림표올림표를 취소해 주는 제자리표를 기보해야 하는 것이었다. 아래는 내림가장조에서 바장조로 전조하는 예다.

이 경우 먼저 바로 위의 그림처럼 기존 조표에서 취소되는 내림표올림표 자리에 제자리표를 쓴 다음에 새로운 내림표나 올림표를 쓰거나 그 순서를 바꿔서 표기하는 것이다. 순서를 바꾸는 경우는 아래와 같이, 새로운 내림표나 올림표를 먼저 쓴 다음에 취소되는 기호 자리에 제자리표를 쓰는 것이었다.

단, 다음 예시의 D음처럼, 조표 자리의 제자리표와 다른 기호가 한 음에 같이 쓰인 경우 제자리표는 무시되고 무조건 내림표나 올림표만 적용된다. 그리고, 내림표 조성에서 올림표 조성으로 바뀌거나 그 반대의 경우엔 순서상 항상 제자리표 계열을 먼저 기보해왔다.

그리고 내림표나 올림표의 조표가 없는 조로 전조 시엔 이전 조표의 모든 기호 자리에 제자리표를 기보해왔다.

그 이후로 악보의 행이 바뀐 이후로는 쓰였던 제자리표가 생략되어 표기되어왔다.

다만, 최근들어 일부 악보 정도엔 앞서 말한 고전 관습의 원칙과 달리 가독성 개선, 작성시간 단축 등을 이유로 내림표나 올림표의 조표가 있는 조로 전조 시 간혹 제자리표를 생략하는 경우도 생겨져왔다. 가령 존 파울즈의 A World Requiem에서도 이러한 표기가 적용되었다.[2] (단, 조표가 없는 조로 전조 시엔 앞서 말한 고전 관습의 원칙과 동일한 표기법을 그대로 유지해왔다.) 다음은 이러한 표기법 유지 시 내림가장조바장조마장조다장조 순으로 전조했을 때를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비공식 악보 사보 등에도 이러한 표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임시표로 쓰일 때에는 음표 머리의 왼쪽에 쓴다.

임시표로서 쓰이면 그 마디 내 같은 높이에서 제자리표 이후의 해당 음에 제자리표가 적용되어 제자리 음(즉, 기본 음)을 연주한다. 다만, 조표와는 달리 음이름은 같지만 마디나 옥타브가 다른 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특히 임시표일 경우엔 그 전의 다른 변화표의 효력이 모두 무시되며, 무조건 기본 음(원음)을 기준으로 읽는다. 같은 보표 내 같은 마디 내 같은 옥타브에서 임시표로 쓰인 제자리표의 효력을 없애려면 내림표(♭), 올림표(♯) 등의 다른 변화표를 사용한다.

겹제자리표

겹제자리표 혹은 더블 내추럴(double nautural)은 제자리표 두 개가 한 곳에 병기된 기호다. ♮♮로 표기한다.[3][4]

이전엔 겹내림표, 겹올림표에 의해 변화된 음을 원음으로 되돌릴 때 겹제자리표[3]가 쓰이는 관습이 있었지만,[4] 대략 1800년대 이후로는 가독성과 작성시간 등을 고려해서 처럼 하나의 제자리표를 사용하는 것도 허용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이전에 겹내림표, 겹올림표가 붙은 음을 각각 기본적인 내림표, 올림표의 음으로 올리거나 내릴 때 , 대신 ♮♭, ♭♮, ♮♯, ♯♮를 쓰는 관습이 있었지만, 대략 1800년대 이후로는 가독성과 작성시간 등을 고려해서 기존의 ♭, ♯로 표기하는 것도 허용되었다.

  • 더 나아가면 (앞서 말한 겹내림표겹올림표를 넘어선) 세겹내림표세겹올림표 이상의 기호를 무효화 시에도 이에 나온 이전식 표기와 비슷한 원리를 고려할 가능성은 있겠다.[5][6]
  • 내림표가 붙은 음을 올림표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경우에도 각각 기존의 ♯,♭ 대신 ♮♯, ♮♭가 쓰이기도 한다.[7]
  • 존 스텀프의 Prelude and the Last Hope처럼 조표에서 제거되는 겹내림표 자리에 겹제자리표가 사용된 경우도 있다.[8]
  • 몇몇은 겹제자리표란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기호다', '이론적으로만 존재한다', '음악 이론서에 보이지 않는 내용이다',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기호다' 같은 인식을 갖기도 해왔다.[출처 필요]

다른 예시와 고려 사항

  • 조표가 적용된 음에 임시표로 제자리표를 썼다가 그 마디 내 같은 높이에서 조표와 일치하는 임시표를 썼을 땐 몇몇은 "제자리표의 효력을 없앤다"는 해석보다는 "다시 본래 조표의 음을 치기 위해 쓴다"고 해석하기도 한다.[출처 필요]
  • 악보 편집 프로그램 뮤즈스코어(MuseScore)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조성에서라면 전조 시 새로운 조표 자리에 아예 제자리표가 하나도 기보되지 않는 버그가 있다. 심지어는 내림표나 올림표의 조표가 없는 조로 전조 시에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은 올림사장조를 직접 생성 후 다장조로 전조하는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출처 필요]
  • 전조 시 제자리표 없이 그냥 겹세로줄만 표기하면 바로 내림표나 올림표의 조표가 없는 조성이 된다는 몇몇의 주장도 있다. 다만, 그러한 표기를 해서 어떤 곡의 작품을 공식 출판한 사례는 아직까지 미발견되었다. (그 외에 일단 전조 시 원칙대로라면 새로운 조표 삽입 시 겹세로줄이 필요하긴 했다는 점도 있다.) 다음은 가령 내림가장조에서 다장조로 전조 시의 그 주장을 나타낸것이다.[출처 필요]

같이 보기

각주

🔥 Top keywords: 위키백과:대문문화방송러브버그 (곤충)특수:검색클레오파트라한국방송공사밀양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이근희스캔들 (2024년 드라마)한국교육방송공사지구 온난화손경호유튜브심혜진특수:최근바뀜엘 꼴라시코이효리배인순심현섭더 리틀 띵스김가연변우석인스타그램노소영대한민국하이프 사이클박세리김송일양정아도영DAY6진성 (가수)배인숙위키백과:전쟁과 평화 에디터톤공명 (1994년)견미리정다은 (아나운서)2024년 하계 올림픽황보라